|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이 반도체 등 선진 기술에 있어 여전히 미국 기업을 필요로 하는데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자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쉽사리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1일 전했다.
미국 기업을 대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하더라도 중국 내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미국 상무부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화웨이와 화웨이의 21개국 38개 자회사들이 미국 소프트웨어·기술을 이용해 생산된 반도체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제재안을 발표했다. 설계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 미국 기술이 조금이라도 포함된 반도체 제품을 화웨이와 거래하지 못하게 제재한 것이다. 승인을 조건으로 예외적으로 허용하긴 했지만, 화웨이가 제3의 업체로 우회해 구매하려는 기성품까지 포함시킨 만큼 사실상 화웨이의 숨통을 끊어놓는 수준이다.
하지만 중국은 마땅한 보복 수단을 꺼내놓지 않고 있다. 가오펑(高峰) 중국 상무부 대변인이 “중국은 이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모든 필요한 행동을 취함으로써 단호하게 중국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엄포한 정도다.
컨설팅 업체 가베칼의 왕단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이번 화웨이 제재 강화를 ‘사형 선고’에 비유하면서 “화웨이가 중요한 회사이기는 하지만 중국은 대형 미국 회사들이 중국에 남도록 하는 공격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에 미치는 타격을 감수하고도 이번 화웨이 제재를 발표했지만, 중국은 당장 내수 경제를 위해 이런 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란 의미다.
딩솽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중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디커플링(탈동조화)을 늦추기 위해 중국의 최우선 목표는 가능한 한 많은 외국 기업이 자국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라며 “현 단계에서 중국의 대미 보복은 미국의 추가 보복만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은 대만과 홍콩 등 영토 문제는 ‘핵심 이익’으로 여기고 절대로 타협을 하지 않는 반면 경제적인 영역에서는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베이징 소식통은 “중국은 기본적으로 핵심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는 다른 분야를 일정 부분 양보할 수 있다는 기조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