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 상황이 전반적으로 악화하면서 저소득층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은 때문이다. 정부의 재정을 쏟아부어 만든 각종 일자리·복지 대책도 고용참사로 인한 소득감소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1일 통계청의 ‘2018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5.47로 나타났다. 전년(4.61)에 비해 0.86포인트 늘었다.
이 같은 5분위 배율은 2003년 전국 단위 가계동향조사를 실시한 이후 4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1년 새 늘어난 배율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 배율은 소득 격차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커질수록 소득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뜻이다.
기획재정부·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양극화가 심해진 이유는 크게 3가지 때문이다.
첫 번째 이유는 일자리 참사 때문이다. 작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위(하위 20%) 근로소득은 43만500원으로 재작년 4분기(68만1400원)보다 36.8%나 감소했다. 이 같은 근로소득 감소율은 역대 최대치다.
두 번째 이유는 고소득층 소득은 늘고 저소득층 소득은 감소했기 때문이다. 작년 4분기 결과에 따르면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32만4300원으로 전년보다 10.4% 늘었다. 이 같은 소득 증가율 규모는 1~5분위 중 가장 컸다. 반면 1분위(하위 20%) 소득은 123만8200원으로 17.7%나 감소했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질 좋은 정규직인) 상용직 일자리·소득이 늘었지만 취약한 저소득 일자리는 힘들어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영세 자영업 상황이 좋지 않았다. 1분위 사업소득은 8.6%, 2분위(하위 40%) 사업 소득은 18.7% 각각 감소했다. 통계청 미시 데이터 분석 결과 2분위 가구 중 자영업자 비중이 재작년 4분기 24.4%에서 작년 4분기 19.3%로 줄었다. 영세 자영업자 상황이 악화하면서 2분위 사업소득이 두자릿수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정책에도 소득 양극화는 오히려 극심해졌다.
박 과장은 “시장 상황의 악화 정도가 정부의 소득 분배 상황을 개선 시키려는 정책 효과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21일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 정책의 집행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의 종합적인 정책 대응 노력이 차질없이 이루어질 경우 저소득층의 소득 여건도 점차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관계부처 간 협업을 통해 총력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