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최근 부동산 시장 현황과 향후 전망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 경기는 2012년 이후부터 수축국면(후퇴기→수축기)에 진입한 이후 지난해 초부터 서서히 회복기에 진입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부동산 경기 활성화 정책으로 지난해 중반에 경기가 정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서서히 경기가 둔화되며 현재 후퇴기에 진입했다.
하지만 수도권은 여전히 호황기를 누리고 있다. 2012년부터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수축 국면을 맞이해 상당 기간 불황기를 보내고 지난해 확장 국면을 맞이했다. 올해 초는 다소 주춤했지만 아직까지 확장기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연구원은 판단했다.
지방은 2014년 중반 이후부터 지난해 초까지 확장 국면을 보였고 지난해 중반에 정점을 기록한 후 후퇴기를 거쳐 최근 수축기에 진입했다.
부동산 시장을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볼 때 수요는 줄어들지만, 공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가계의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부터 마이너스대로 전환됐고, 고용시장은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보이며, 가계의 주택구매력은 2015년 말부터 점차 줄어들고 있어서다.
여기에 과도한 가계부채로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도 강화될 전망이다.
또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주택 인허가 물량이 착공으로 이어지면서 아파트 분양 물량 역시 과거 대비 높은 수준이다.
준공실적은 인허가와 착공에 2~3년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데, 올해 상반기 준공실적은 24만 300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8.0% 급증했다.
이 때문에 수도권과 지방 모두 미분양이 증가하는 추세다.
김천구 현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이례적으로 늘어난 부동산 시장의 공급과 비교해 가계의 수요가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구조조정 업종이 밀집한 지방 부동산 시장은 경착륙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경착륙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경기활성화를 통한 부동산 시장 급랭을 방지하면서 가계부채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며 “정부 역시 부동산 시장의 호·불황 판단과 대응 정책 수립 시 일관성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건설기업들은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