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1·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월평균 149만8000원을 벌었다. 작년과 거의 비슷한 수치다.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는 월 1115만8000원의 평균 소득을 기록해 1분위보다 5.41배 더 많은 소득을 창출했다. 지난해 1분기(5.18배)보다 소득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어제 통계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에도 1분기 가계소득은 평균 3.7% 증가해 전체적인 모습은 예상보다 양호했다”면서도 “다만 저소득 가구의 소득증가율이 낮게 나타나면서 소득양극화가 심해졌다고 다수 언론이 보도했다”고 말했다.
김상조 정책실장은 “이것은 정책개선의 효과”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올 1월부터 기초연금, 장애인연금을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올리고 대상 확대하는 한편, 기초생활보장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하는 조치 등을 단행했다. 김 실장은 “그 점이 저소득층 소득에 반영됐다”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김 실장은 또 데이터3법에 이어서 데이터기반 활성화법안 통과 사실도 의미있다고 보고했다. 김 실장은 “데이터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법안”이라면서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뉴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가 지원이 늘어났음에도 1분위 소득이 정체인 것은 실질적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정책개선 효과는 있었다,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대상확대 등이 반영됐다는 점을 설명드린 것”이라며 “국민취업지원제도라든지 고용보험 확대도 정책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 외에 긴급재난지원금, 각종 돌봄쿠폰 등은 1분기 조사에 반영되지 않았다”라며 “다음 분기에 반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