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부터 서울형 키즈카페를 운영하기 위해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부지 물색을 위한 수요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자치구별로 공실 건물을 리모델링하거나 유휴부지에 놀이공간을 새로 짓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우선 내년 14곳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지정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그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번 방안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4·7 보궐 선거 당시 내세웠던 대표 보육 공약 중 하나다. 기존 키즈카페를 이용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고 미세먼지, 날씨 등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공공형 실내놀이터인 키즈카페를 조성하기로 한 것. 자치구가 해당 부지를 물색하면 시비를 전액 투입하거나 자치구와 협업해 지원을 할 계획이다.
문제는 기존 민간업체와의 공존 여부다. 기존 민간 키즈카페의 운영시간당 요금은 2시간당 약 1만~2만원이지만, 시립 키즈카페는 이보다 최대 10분의 1 수준인 2시간당 2000~3000원 정도로 가격을 대폭 낮출 계획이다.
서대문구에서 키즈카페를 운영하는 박기명(가명)씨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손님이 없어 매일 파리만 날릴 정도로 어려워 당장 임대료를 내기도 빡빡한 상황”이라며 “공공에서 새로운 형태의 놀이시설이 들어오면 당연히 영업이 더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제대로 된 대안도 없이 자영업자를 죽이는 행태로 밖에 이해가 안 된다”고 푸념했다.
영등포구에서 키즈카페를 10년째 운영 중인 이수진(가명)씨는 “(공공 키즈카페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지만)그나마 버티고 있는 골목상권을 낭떠러지로 떠미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민간에도 서울시가 공동으로 협약을 맺어 예약자를 받는 등 일부 지원하거나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보릿고개를 겪는 민간 영역에 대한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별도 제한 장치를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미숙 한국아동복지학회 감사는 “민간 키즈카페의 가격 부담이 높은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시립 키즈카페는 맞벌이나 한부모가족 등 돌봄 부담이 있는 가정이나 경제 취약계층 등 이용 대상자를 좁히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사전 예약을 받거나 이용 인원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