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디스플레이, 2017년부터 플렉서블 적용될 것"

커넥티드카, 무인차 등장에 디스플레이도 변화
PMLCD에서 TFT LCD 중심..일부는 아몰레드
2017년 기점으로 비정형·고해상도 등 적용될 듯
  • 등록 2015-09-23 오후 3:11:51

    수정 2015-09-23 오후 3:11:51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커넥티드카, 무인자동차 등 새로운 자동차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면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 대한 성장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르면 오는 2017년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플렉서블 제품이 등장하는 등의 큰 변화가 예고됐다.

스테이시 우(Stacy Wu) IHS 책임연구원은 23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 디스플레이 컨퍼런스(Korea Display Conference·KDC) 2015’에서 “과거 자동차 산업에서 커넥티비티(Connectivity·연결성)가 MP3 연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한 기본 도로 정보 전달을 말했다면 이제는 스마트폰이 콘텐츠의 중심이 되고 있고 클라우드에 기반한 콘텐츠를 즐길수 있게 됐다”며 “콘텐츠가 복잡해지고 인테리어 디자인이 바뛰면서 디스플레이 역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 업체 엔비디아(nVidia)에 따르면 2020년쯤에는 자동차 내 계기판을 포함해 앞유리창에 반사되는 헤드업디스플레이, 뒷좌석에서 이용가능한 리어시트 엔터테인먼트, 센터페시아의 오디오 제품 등에 쓰이는 디스플레이 등이 모두 자동차에 기본 장착될 전망이다.

우 책임연구원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은 과거 PMLCD(수동형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 위주에서 점차 TFT LCD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출하량 기준으로 올연말이면 TFT LCD(1억1700만장)가 PMLCD(1억500만장)를 넘어서고 2022년경에는 TFT LCD(1억6500만장)가 PMLCD(8300만장)의 2배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 연구원은 “TFT와 아몰레드(AMOLED)가 떠오르는 기술”이라며 “다만 아몰레드는 아직까지 프리미엄 자동차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패널 공급 업체를 살펴보면 대만과 중국 업체들이 성장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13%였던 대만 이노룩스의 점유율은 올 상반기 15%로 상승했고 대만 CPT도 12%에서 13%로 비중이 커졌다. 같은 기간 중국 티안마와 트룰리 역시 각각 3%, 2%에서 6%로 점유율을 키웠다. 반면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 내 유일한 한국 기업인 LG디스플레이(034220)의 경우 12%에서 10%로 비중이 줄었다.

우 연구원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가 2017년 이후 현저한 변화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형태적으로는 기존 사각형에서 벗어나 비정형 혹은 원형이 등장하고 커브드 형태의 플렉서블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며 “플렉서블 제품의 출시와 더불어 아몰레드 기술 적용이 본격화되고 풀HD 해상도가 일반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테이시 우 IHS 책임연구원이 전망한 미래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기술 변화
▶ 관련기사 ◀
☞ "플렉서블 시대, 올레드가 주도..아이디어 경쟁 나설 때"
☞ "플렉서블 시대, 올레드가 LCD 제친다..롤러블 TV도 현실"
☞ "디스플레이용 유리, 내구성보다 얇은 두께 중요"
☞ 美 디스플레이메이트 화질 평가 “LG OLED TV가 압도적”
☞ LG디스플레이, 파주 사업장서 이색 채용설명회 열어
☞ `접히는 스마트폰`, 위기의 디스플레이株 구해낼까
☞ “디스플레이 원천기술 확보해 중국 추격 따돌리자”
☞ 삼성디스플레이, 강화유리 만드나..'터틀글래스' 상표 출원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