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9명에서 지난해 0.72명까지 떨어졌다. 2025년에는 전체 인구 5분의 1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다. 그간의 무조건적인 재정 투입에서 벗어나 정부 거버넌스 자체를 혁신함으로써 정책 전반을 출산 친화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날 이데일리 전략포럼 오후 세션 1로 마련된 ‘출산 친화적 인구정책을 위한 정부 거버넌스의 혁신’ 발표·토론은 이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 교류가 치열하게 전개됐다. 전병목 차기 한국재정학회장과 이상협 하와이대 경제학과 교수가 발표에 나섰고 스미딩 교수, 신시아 밀러 MDRC 선임 연구원이 토론에 함께 했다. 사회는 안종범 정책평가연구원장이 맡았다.
특히 이미 네 차례 이상 방한한 ‘지한파’ 학자로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스미딩 교수는 인구 위기에 직면한 한국 사회가 조금 더 근본적인 변화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스미딩 교수는 전날 한국에서 태어난 아이라면 부모의 국적과 관계없이 한국 국적을 줘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다소 급진적인 제안 아니냐는 평가까지 나왔다고 했다.
그는 “미국에는 이민자가 노인돌봄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많이 일한다”며 “한국도 이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민자는 즉각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며 “향후 출산율이 오르는 시점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기에 그전까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미딩 교수는 이민자 노동력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장기 데이터 축적 및 활용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근거가 필요하다”며 “행정 데이터와 서비스 데이터를 연결해야 한다. 이런 자료를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