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정부는 2016년 지소미아 체결 추진 당시 북한의 4·5차 핵실험과 20여회의 미사일 발사 상황에 직면해 우리 능력과 태세를 보강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를 밀어붙였다. 북한이 연일 남한을 사정권으로 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신형 방사포를 쏘아대고 있고 이미 핵 보유가 기정사실화 된 상황에서 한·일간 직접 정보를 교환하는 협정을 끝내는건 안보적 측면은 무시한 처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일 ‘지소미아’ 무산, 北 핵실험 계기 한·미·일 ‘티사’ 체결
지소미아는 1945년 광복 이후 우리 정부가 일본과 맺은 첫 군사협정이었기 때문에 추진 당시 반발이 거셌다. 미국의 ‘압력’에 의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0년 한국에 지소미아 체결을 요청했지만 우리 측의 무관심으로 논의가 진전되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시절 재추진돼 2012년 당시에는 체결 막판까지 갔다. 관련 안건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는데도 이를 공개하지 않는 등 ‘밀실추진’ 논란이 극에 달에 결국 체결이 무산됐다.
하지만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한 핵·미사일 위협 현실화에 따라 한·미·일 3국 간 관련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2014년 지소미아의 대체 수단으로 티사가 체결된 셈이다. 티사는 1987년 한미 군사비밀보호협정과 2007년 미일 군사비밀보호협정에 명시된 제3자와의 정보공유 관련 조항을 근거로 3국이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했다.
|
국방부 관계자는 “한·미, 미·일 양국 정부의 협정을 근거로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상호 제공 비밀은 국제법적으로 보호된다”면서 “또 공유되는 정보는 한·미·일 정보공유 약정 제2조에 따라 구두·시각·전자·자기·문서 등의 형태로 교환된다”고 설명했다. 티사를 통해 일본에 제공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정보는 비밀등급 2~3급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체결된 지소미아를 통해서는 보통 2급 수준의 정보가 교환된 것으로 전해졌다.
北 위협 여전한데…앞뒤 안맞는 정부 논리
그러나 김 차장의 이같은 설명은 2016년 당시 일본과 지소미아 체결을 추진하면서 정부가 제시했던 설명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당시 정부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선 일본과의 지소미아 체결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이었다. 협정 재추진을 위해서는 ‘국내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했었던 우리 정부가 돌연 2016년 10월부터 협정 체결 논의를 본격화한 이유다. 협정 재추진 발표 이후 실제 서명까지 단 27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과 핵 보유 의지가 여전한 상황에서 일본과의 지소미아를 종료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런데도 국방부는 이번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 “정부의 결정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지소미아 종료와 관계없이 강력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완벽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