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4일 발간한 ‘금융·경제 이슈 분석’에 따르면 한은이 외환시장압력지수(Exchange market pressure·EMP)를 분석한 결과 외환시장 압력은 대체로 환율 변화 형태로 나타났다. 즉, 자율변동환율제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다는 평가다.
한은에선 EMP를 환율 변화, 정책금리 대응, 외환시장 개입을 가중합해 산출했는데 이들 세 가지 요인을 분해한 결과 환율 변화가 가장 크게 EMP를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급격한 대외부문 충격이 발생할 경우 외환시장 개입으로 환율 상승이 억제됨에 따라 EMP 지수가 완화되는 쪽으로 작동하는데 우리나라는 점차 외환시장 개입 비중이 낮아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환시장 개입도 꾸준히 줄어드는 모습이었다. 환율 상승이나 하락에 대응해 금리를 조정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
한은은 “글로벌 리스크 민감도가 낮아진 점은 2020년 코로나 위기시 외환시장의 빠른 안정 회복의 배경으로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작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EMP지수가 급등한 점을 볼 때 글로벌 요인이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작년 9월중 우리나라 EMP지수는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급등했다”며 “2010년 이후 각국의 EMP지수 분포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신흥시장국을 포함한 비교 대상국들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의 외환시장 압력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점은 글로벌 요인이 미치는 경로가 다양하며 예측하지 못한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