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박 대통령은 방중 자체에는 부담을 덜었다. 청와대와 백악관이 지난 13일 한미 정상회담 일정(10월16일)을 조기에 동시 발표한 게 그 시그널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한·미 양국이 아직 두 달이나 남은 정상 일정을 서둘러 발표한 건 이례적”이라며 “이는 미국에 양해를 구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문제는 ‘열병식’ 참석 여부다. 중국의 동북아에서의 군사적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미국이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관을 껄끄러워하기 때문이다. 실제 에번스 리비어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차관보는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한국을 침략했던 마지막 국가(중국)가 행하는 열병식에 한국의 대통령이 참석하는 과연 적절한가”라고 했다.
국내 여론은 팽팽하다. 이날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긴급 여론조사(18일, 성인 500명 대상,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를 실시한 결과 ‘열병식에도 참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39.5%로, ‘참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32.7%)보다 오차범위 안에서 6.8%포인트 더 높았다.
박 대통령과 김 제1위원장의 만남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외교가와 정보당국의 관측이다. 한 소식통은 김 제1위원장의 방중 여부와 관련, “북·중 간의 움직임이 전혀 포착되지 않고 있다”며 가능성을 낮게 봤다. 특히 김 제1위원장이 방중하더라도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도발 등으로 남북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과 의미 있는 대화를 주고받을 가능성은 작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