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재정확대를 통한 공공사업 확대는 재난을 대비하고 노후화된 사회자본 정비를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재정낭비를 막기 위해 추경예산 편성보다는 장기적인 정비계획에 입각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결론도 얻을 수 있다.
일본은 과거 불황 타개책으로 재정과 금융 수단을 번갈아가며 사용했지만 둘을 동시에 대규모로 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아베노믹스는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전략이 성공한다면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좋은 사례로 기록되겠지만 실패하면 일본 경제가 막다른 골목에 놓였다는 신호로 인식돼 국가신용등급 조정 등 심각한 후폭풍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설명했다.
KIEP는 지난 2월 보고서에서 “엔화 약세는 우리나라 수출에 원화 강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며 “환위험 헤지, 제품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등 기업 차원에서 먼저 대응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우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원화 절상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상시 대응 체제를 구축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일본의 산업경쟁력 회복에 맞설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 [기획]TPPA, 일본경제 회생 이끌 원동력 될까 ☞ [기획]아베노믹스 처음과 끝 ☞ [기획]날개 단 아베노믹스, 어디까지 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