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은 두 사람에 대한 공소사실을 설명하기 앞서 공소제기의 적법성에 대해 강조했다. 앞서 이 검사 측은 공수처 수사대상 사건을 검찰에서 기소해 자신의 기본권이 침해됐다는 취지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검찰은 “이 사건 공소제기는 적법하다고 본다”며 “공수처가 사건을 재이첩해 처분권이 검찰로 넘어와 온전하게 사건 처리 권한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검사 측은 공수처가 제정한 사무규칙을 근거로 규정하는데, 공수처가 헌법 상 헌법기관이 아닌 것은 명확하다”며 “공수처가 대외기관에 효력을 주는 법규나 명령을 자체적으로 제정할 권한은 없다”고 강조했다. 재판부는 검찰의 기소권한 여부에 대해 조만간 판단을 내릴 계획이다.
검찰은 “김 전 차관이 좋은 사람이냐 나쁜 사람이냐를 가리는 게 아니라 법 집행기관이 국민을 대상으로 위법한 법 지행을 했느냐가 중점이다”며 “그 누구라도 긴급 출금할 수 없는 대상에게 긴급 출금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절차위반이 아니라 실체를 왜곡한 사건이다”고 못 박았다.
검찰은 공소사실을 설명하면서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이 검사와 차 본부장 사이에서 출금을 조율하는 등 개입한 상황을 설명했다. 특히 당시 대검찰청 과거사진상조사단 소속 파견검사였던 이 검사에게 권한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검사와 차 본부장 측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특히 이 검사 측은 “직권남용과 관련해 이 검사의 업무수행이 문제가 있었다면 대검찰청에서 지시한 대검 차장검사가 권리 주체다”고 지적했다. 2019년 당시 대검 차장검사는 봉욱 변호사이다.
이 검사 측 변호인은 재판이 끝난 후 입장문을 통해 “이규원 검사는 당시 봉욱 대검 차장검사의 사전지시를 전달받아 김학의에 대한 긴급출국금지요청서를 발송했다”며 “이 검사는 현재 공수처에서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서도 성실히 조사에 임하며 소명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 검사는 지난 2019년 4월 김 전 차장에 대한 출국금지 조처를 위해 무혐의 판결 난 사건번호와 가짜 내사번호 등을 동원한 혐의로 기소됐다. 차 본부장은 김 전 차관의 출입국기록 등 개인정보를 조회하는 등 출금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