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 비상대응반이 지난 17일 파주 발생 농가 주변 현황을 긴급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했다.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지대로 주변 구릉지는 소규모로 단절돼 있어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낮았다. 해당 마을 이장도 해당 지역에 멧돼지 활동이 없었다고 전했다.
또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유입됐을 가능성도 현실성이 낮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지역이 한강 합류지점과 멀어 열병에 걸린 멧돼지가 떠내려왔을 가능성은 낮다”며 “ASF에 걸려 허약해진 멧돼지가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해당 농가의 울타리를 넘어왔다고 보기도 힘들다”고 설명했다. 앞서 파주의 ASF 발생 농가는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자유로를 따라 5㎞가량 떨어진 한강, 공릉천 합류 지점 인근으로 북한과는 불과 10㎞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돼지열병 전파 경로로 북한 유입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기도 했다.
세계적으로도 야생멧돼지에 의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사육돼지 감염은 러시아 방목농가에서 2건 보고된 것 외에는 그 외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보고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해 8월 이후 경기 북부지역에서 수집한 멧돼지 시료 76건을 분석한 결과도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환경부는 경기 파주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함에 따라 야생멧돼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먼저 발생 농가 주변 20㎢ 정도를 관리지역으로 설정하고 ASF로 인한 멧돼지 폐사체 및 이상 개체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또 해당농가와 인접 구릉지 1㎢에 대해서는 출입을 금지하도록 해당 지자체에 요청했다.
송형근 환경부 자연환경정책실장은 “현재로서는 발생농가에서 야생멧돼지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혹시나 있을지 모를 야생멧돼지 발생에 대비해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 확인과 검사 등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