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 선임 연구원은 19일 서울 중구 장충동의 서울 신라호텔에서 ‘인구위기...새로운 상상력,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열린 제15회 이데일리 전략포럼에서 “저출산 문제는 단순 재정 지원으로 해결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
밀러 선임연구원은 먼저 지나친 사교육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경제 성장 둔화와 안정적인 일자리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한국에서는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 교육도 부모의 참여도가 높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사교육 비용이 높은데 대학 교육에서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 노동시장의 불안 역시 지적했다. 그는 “임시직이나 불안정 근로가 많다 보니 여성이 일하기 어렵고 출산과 관련한 의사 결정도 달라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읽은 논문을 한 단락을 인용해 한국의 임시직이 2001년 17%에서 2016년 29%로 증가했다면서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는 OECD 국가 대부분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은 굉장히 극단적”이라며 “3분의 1 정도가 불안정한 근로를 겪는다. 또 자영업자 비중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실 다른 나라들도 저출산 문제에 당면했으나 일부 다른 국가는 반전에 성공했다”며 “‘이런 나라로부터 배울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한 나라에서 통한 정책이 다른 나라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유럽 국가와 비교했을 때 가부장적, 부계 사회라는 예외가 있다고 덧붙였다.
밀러 선임연구원은 “출산과 관련한 건 재정 지원으로만 해결하기엔 복잡하다”며 “정부의 전체적인 정책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