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부족한 기사에 대한 반성 못지 않게 씁쓸함이 크다. 왜 그럴까. 기업공시 등을 20년 이상 다뤘던 금융감독원 직원도 “스톡그랜트는 정말 심각한 문제가 있다. (기사를) 좀 더 쎄게(심하게) 써도 됐다”고 했을 정도다. 금융감독원도, 금융위원회도 취재에 들어가자 “미처 몰랐다. 문제가 있다면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했다. 금융당국이 성과보수체계 모범규준을 도입한 건 2010년초. 최소 3년 이상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 살피지 않은 금융당국의 책임은 어떤 변명을 대도 부족하다.
KB금융지주의 대응에서 스톡그랜트 제도의 맹점은 그대로 노출됐다. 홍보팀만을 통해 취재가 가능하도록 제한해놓고, 홍보팀을 통해 들은 어떤 내용도 팩트와는 맞지 않았다. 먼저 ‘임원의 보수총액에 장기인센티브는 제외된다’고 사업보고서에 명시돼 있음에도 “임원의 보수총액 50억원에 장기인센티브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결과론적으로 50억원에 장기인센티브는 제외되며 3년간 25만주, 시가기준 88억원이 넘는 스톡그랜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번 취재를 통해 ‘스톡그랜트’가 내부의 회계팀도, 인사팀도 아무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운영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확인했다. 금융감독원도 스톡그랜트 기사를 계기로 급감하는 은행 실적에도 상승 일변도에 있던 은행임원의 보수 체계에 대한 전수 조사에 착수했다.
▶ 관련기사 ◀
☞임영록 "우리금융 민영화,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검토"
☞24일 채권시장 CD 발행 800억
☞24일 채권시장 은행채 발행 69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