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인펠트 전 총리는 19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9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대전환 시대, 정부의 혁신성장’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디지털 신세계는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실업률이나 생산성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집단적인 노동 시장 참여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가 재임했을 당시 스웨덴에서는 취업에 대한 의지가 없거나 계획이 없는 사람이 많았다. 그 이유는 저임금 일자리를 갖는 것보다는 아예 일을 하지 않고 국가에서 지원을 받는 편이 나았기 때문. 따라서 이들에게 일을 할 수록 소득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는 점이 중요했다.
레인펠트 전 총리는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복지제도의 허점을 제거하는 데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람들이 일을 하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누진적인 소득세를 낮추기로 했다. 저임금 근로자에 대한 세금공제를 실시했고, 실업급여나 장기병가에 대한 기준을 높였더니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단순히 생산성에 의존하면 시장에서 제외되는 그룹이 생긴다. 포용적 사회를 만들기 위해 중요하다”며 “가구소득별로 나누면 상위 10%가 주도하고, 나머지 90%가 패자가 된다. 이들 역시 인센티브와 세제 혜택 등을 통해 변혁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거듭 말했다.
|
레인펠트 전 총리는 스웨덴에서 개혁과 소통의 아이콘으로 통하는 정치인이다. 2006년 제32대 스웨덴 총리로 취임했다. 경제 및 노동시장 개편 부문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2008년 금융위기 속에서도 3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탄생하는 성과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