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온·오프라인 갈등을 조정하거나 부처간 칸막이를 없애 4차 산업혁명을 가로막는 규제를 개선하는데 얼 만큼 힘을 발휘할지 의문이 제기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에 출범한 26명의 위원들 면면을 보면, 부처간 갈등이 있는 규제나 정책에 대해 디지털 세대의 입장에서 조율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어느 정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산업계 10명 중 9명이 인터넷·AI 경력자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민간 위원은 위원장 제외 업계 9명, 학계 9명, 연구계 2명이다. 여기에 4개 부처 장관과 문미옥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등 당연직 정부 위원 5명이 포함된다.
인터넷·AI 등 소프트웨어 경력자가 산업계 출신 10명 중 9명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의료분야 AI 업체 루닛의 백승욱 대표, 토종 AI 엔진 개발업체 솔트룩스의 이경일 대표가 합류했고, 현대차에서 제품신뢰성 확보실장·보스턴컨설팅그룹(BCG)컨설턴트를 지낸 김흥수 현대차 커넥티비티실장도 민간 위원으로 참여한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들 중 상당수가 직접 벤처를 창업해 성공한 사람들이나 외부 눈치를 보지 않고 디지털 확산에 따른 업의 본질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이어서 기대감이 크다”고 밝혔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위원회가 지나치게 큰 그림에 집중해 시간을 보내는 게 아니라, 작더라도 성과 있는 작업에 집중하는 실용성을 갖추는 것 같다”고 기대했다.
|
교수들도 9명이 포함됐다. 보건의료·사회복지정책 전문가인 강민아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를 포함해 국정위 전문위원 출신인 노규성 선문대 경영학과 교수, 이대식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임춘성 연세대 정보산업공학과 교수가 포함됐다.
여성인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서은경 전북대 반도체과학기술학과 교수, 안랩 최고기술책임자 출신인 이희조 고려대 통신공학부 교수, 박종오 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 한재권 한양대 산학협력중점교수도 민간 위원으로 활동한다. 연구계에선 강수연 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재용 국토연구원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장이 활동한다.
다소 자유로운 분위기의 민간 위원들과 교수 출신들 사이에서 ‘팀플레이’가 가능할 까 의문도 있다.
하지만 장병규 위원장은 “정부 정책에 대해 심의·조정을 잘해야 혼란 없이 앞으로 갈 수 있다”며 “주무부처에 휘둘리지도 않을 것이다. 민간과 주무부처와 청와대의 생각을 받아서 하는 ‘팀플레이’가 중요하다. 네 번의 창업이 모두 공동창업이었다. 잘 할수 있다”고 자신했다.
장석영 4차산업혁명위 지원단장은 “위원회 공식 회의는 10월 중 열리고 11월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 방향을 담은 대책을 만들 것”이라면서 “12월부터는 데이터나 각 산업이나 분야별 대응방향을 (위원회에)보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