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과기정통부의 최우선 과제는 자율규제 체계 확립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에서 메타버스를 게임 산업으로 정의해 과도한 규제로 옭아매려는 시도를 차단하겠다는 목표다. 가상융합산업 진흥법 하위법령과 임시기준에 대한 준비도 동시에 진행된다.
이 같은 작업은 민관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신산업 규율체계 정립 합작법인(TF)’을 꾸려 추진할 예정이다. TF에는 산학연관 메타버스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또 효율적 논의를 위해 △하위법령 분과 △자율규제 분과 △임시기준 분과 등 3개로 나뉘어 운영된다. TF 총괄은 행정안전부에서 공공서비스 국장으로 일했던 황규철 소프트웨어(SW) 정책관이 맡는다.
이날 참석자들은 생성형 AI 등장으로 메타버스 산업이 이전과는 다른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약 30년 전 인터넷이 사회와 산업을 바꿔놨던 것처럼 향후 메타버스가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변화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의미다.
현대원 서강대학교 메타버스전문대학원장은 “생성형 AI에 기반한 메타버스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 될 수 있다”며 “오픈AI의 ‘소라(Sora)’를 보면 과거 컴퓨터 명령어를 모르던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근했던 시대처럼 텍스트만으로 영상 콘텐츠를 만드는 게 현실화돼 메타버스 확장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또한 “메타버스를 활용하면 의료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환자를 돌보고 (의사를 위한) 교육용 서비스도 가능하다”며 “특히 정부 지역 의료 사업은 7~80%가 인건비인데 메타버스를 통해 효율화도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강 차관은 “법제도 문제를 빠르게 준비해나가고, 정책 지원체계 또한 고민하겠다”며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메타버스산업협회, 메타버스얼라이언스, 기업들과 사업 체계를 평가하는 자리를 마련해 얘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