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10일 보고서를 통해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뿌리산업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파견허용범위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밝혔다.
한경연은 전국사업체조사 및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를 바탕으로 뿌리산업의 인력부족 인원을 분석했다. 파견근로 금지규제가 폐지될 경우 부족인원의 60%는 기존 인원을 대체하지 않고 신규 파견근로자로 채용할 것이란 과거 연구를 바탕으로 신규 창출 가능한 일자리 규모를 추정했다.
파견규제 완화에 따른 신규인력 수요를 추정한 결과 평균 1만1543개 또는 최대 1만3236개까지 신규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정규직 근로자나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체하지 않고 파견 허용범위를 확대할 경우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 수요를 계산한 수치다.
뿌리산업은 그 중요성에 비해 기피업종으로 인식되면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뿌리산업의 인력 부족률은 2009년 전 산업 평균에 비해 오히려 낮았으나 2010년 큰 격차를 보이다 다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인력난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경연은 “그간 우리나라 파견법이 몇 차례 개정됐음에도 불구, 거의 변화가 없어 노동시장의 경직성만 높아지고 일자리 창출 여력은 잠식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조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뿌리산업에 한해서라도 파견허용 범위의 확대로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보하고 한국 뿌리산업이 첨단부품소재 부문을 선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연구실장은 “장기 저성장을 경험한 일본에서도 제조업 파견을 허용해 137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됐다”며 “창출된 일자리는 정규직을 대체한 것이라기보다 신규로 창출된 일자리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견허용범위 확대에 따른 인력수요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파견근로자 임금수준과 근무여건 개선의 노력도 함께 고민돼야 한다”며 “근로자 파견제도의 남용문제는 파견근로 근무여건 개선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 파견근로 자체를 규제해서는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