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협 보험금 반환 문제 첩첩산중..123개 입주 업체 상황 제각각
개성공단기업협회는 경협 보험금 상환 문제와 관련해 언급을 피하며 통일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업체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 그만큼 민감한 문제다. 보험금을 수령한 48개사도 ‘행동통일’을 위한 별도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123개 입주업체 중 보험금을 수령한 업체는 48개사로 총 1692억원이다. 나머지 48개사는 보험금을 수령하지 않았고 27개사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
|
보험금을 반환하지 못하면 최대 9%에 이르는 연체이자도 부담이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9월 17일 보험금 수령 업체에 내용증명을 발송, 기한 내에 납부하지 못하면 ▲30일 이내 연 3% ▲60일 이내 연 6% ▲90일 초과시 연 9%의 연체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피해기업에 이자놀이를 하고 있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입주업체 대표는 “직장 다니는 사람이 5개월 이상 봉급을 받지 못하면 살림살이는 빤하지 않겠냐”며 “6개월 동안 공장을 제대로 돌리지 못했는데 일시 상환은 역부족이다. 참 난감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경영정상화 여전히 어려워..‘예측불허’ 남북관계도 변수
지난 4월초 이전으로 돌아가는 개성공단의 완전 정상화도 시급하다. 전기 개통과 출입은 자유롭지만, 기업들의 경영 정상화까지 걸림돌은 여전하다. 자사 브랜드를 가진 업체는 그나마 났지만, 외주를 받고 있는 업체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크다.
개성공단 기계·전자 부품소재 기업인들이 지난 15일 발표한 긴급 호소문에는 이러한 사정이 잘 드러난다. 이들은 “개성공단 부품소재 분야 45개사의 공장가동률은 평균 47% 수준”이라며 “개성공단이 안정된 분위기로 개선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수주와 경영이 어려워 회사를 유지하기 어렵다”며 남북 당국의 적극적인 협의와 노력을 촉구했다.
아울러 개성공단의 재가동에도 남북이 이미 합의한 사항들에 대한 논의가 진척이 없는 것도 걸림돌이다. 통행·통신·통관 등 이른바 3통 문제 개선은 요원하고 공동투자설명회 개최도 무산됐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 연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실명 비난 등 북한의 비난 공세가 강화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일부 업체의 경우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바이어들이 주문을 취소하거나 줄이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토대는 마련됐지만, 남북 간 이견으로 갈 길은 여전히 멀다”며 “남북대화 채널의 지속 유지 또는 격상을 통한 신뢰회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