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환 사장은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NE리서치 주최 배터리 컨퍼런스(KABC 2019)의 강연자로 나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를 거론하며 이 같이 밝혔다.
파우치 필름은 배터리 외부를 감싸서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 제품으로, 업계에 따르면 일본 DNP와 쇼와덴코(昭和電工)가 전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 사장은 일본에서 공급받고 있는 지금 구조가 당장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일본 DNP와 쇼와덴코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맞고, 이들 회사가 CP기업(자율준수규정 인증)이기 때문에 원칙대로 하면 현재로선 (수입에) 별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일본 정부가 언제든 마음먹은 대로 할 수 있기 대문에 국내 기업 공급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사장은 “국내 율촌화학과 한국알미늄 등이 배터리 파우치를 생산하고 있으나,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일본산보다 덜 하다”면서 “지금까지 국적을 불문하고 품질이 좋고 가격이 더 싼 제품을 써야 했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향후 배터리 기술 개발이 주행거리나 가격보다 수명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현재 셀 가격은 1kwh당 100달러 수준으로 내려왔고, 1회 충전에 400~500km 가는 전기차들이 출시되고 있다”면서 “가격과 에너지밀도는 이 정도면 됐고, 수명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