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국부(國富·국민순자산)가 1경3817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부동산값이 뛰면서 나라의 총재산도 크게 늘어났다.
국민순자산은 우리나라가 얼마나 많은 재산을 갖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가계 기업 정부 등 우리나라 경제주체가 생산하고 투자하고 소비하는 등 경제활동을 통해 보유하게 된 자산의 가치를 모두 더한 값이 국부다.
국민순자산은 국내총생산(GDP)와도 다르다. GDP는 매년 한 나라가 생산한 부가가치의 총합을 나타낸다. 한 개인 입장에서 보면 GDP가 특정 기간 벌어들인 소득이라면, 국민순자산은 그동안 모아놓은 재산을 뜻한다.
비금융자산 상승, 금융위기 이후 최고
한국은행이 19일 내놓은 국민대차대조표 잠정치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전년 대비 5.7%(741조5000억원) 늘어난 1경3817조5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명목 GDP의 8.0배에 이른다. 지난해(8.0%)와 같은 수준으로, 199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비금융자산은 1경3551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전체 국부가 늘어난 정도보다 더 증가했다.
특히 토지자산 증가율(6.6%)은 전년(6.2%)보다 컸다. 토지자산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4.9%까지 올랐다. 2014년(53.6%) 이후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땅값이 큰 폭 오르면서 나라의 재산도 증가했다는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혁신도시와 제주도 및 세종시 개발 등에 힘입어 최근 증가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건설자산 증가율도 6.5%로 전년(3.6%) 대비 3%포인트 가까이 급등했다. 건설자산은 주거용건물, 비주거용건물, 토목건설 등을 아우른다.
비금융자산의 가격상승률은 3.9%를 기록했다. 이는 비금융자산의 명목가액을 연쇄실질가액으로 나눠 계산한 것이다. 지난해 수준 정도면 금융위기 전인 2007년(10.6%)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 3억8900만원 추정
가계·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은 9750조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집값과 주가가 오르면서 2016년(5.8%)보다 확대됐다. 2014년과 2015년 당시 오름 폭은 각각 5.8%, 6.7%였다.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은 3억8867만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순자산에 우리나라 인구(5144만여명)을 나누고 다시 평균 가구원수(2.48명)을 곱한 값이다.
구매력평가환율(PPP)로 봤을 때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44만2000달러까지 증가했다. 2016년 처음 40만달러 선을 돌파한 이후 지난해 더 확대됐다.
다만 여전히 선진국과는 차이가 있다. 2016년 기준 미국(66만6000달러), 호주(68만2000달러), 캐나다(53만8000달러), 프랑스(53만2000달러), 일본(52만9000달러) 등은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