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017670)과 LG유플러스(032640)는 하반기부터 CA를 활용한 LTE-A를 서울 도심부터 서비스할 계획이고, KT(030200)는 정부로부터 자사가 사용 중인 1.8GHz의 인접대역을 받아 광대역 LTE를 내년 초부터 전국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2배 빠른 LTE는 유선 초고속인터넷 속도보다 빨라 스타크래프트2 같은 게임도 스마트폰으로 즐길 수 있다. 최대 격전지인 LTE 시장이 주파수 정책 때문에 재편될 수 있는 것이다.
KT 강수에 SKT 반발, LG유플러스 역제안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열리는 토론회에서 ‘주파수 할당방안’에 1.8GHz 인접 대역을 포함하되 실제 사용시기나 서비스 제공 지역에 제한을 가하는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KT는 19일 “인접대역에 조건을 붙이려면 경쟁사들의 LTE-A도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문을 미래부에 냈다. 경쟁사들은 LTE-A서비스로 치고 나가게 도와주면서 KT엔 조건을 달아 발목을 잡으려고 한다는 주장이다.
미래부가 ‘할당조건을 붙이면 늘어나는 LTE 통화량을 처리할 수 없다’라는 KT의 주장에 부담 갖지 않도록 하자는 의미이지만, KT가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란 평가다.
동시에 정부가 광대역 LTE서비스 시기를 너무 늦추지 않아 KT 달래기에 나설 가능성도 점쳐진다. KT는 1.8GHz 인접대역 할당 후 즉시 사용을, 경쟁사들은 2016년 말 이후 사용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시나리오라면 통신3사 고객 중 도심 거주자는 연내에 2배 빠른 LTE를 경험할 수 있다. 다만, 전국 제공 시점은 정부 할당 조건에 따라 KT가 가장 빠를 수 있다. KT 1.8GHz 광대역 서비스 사용에 1년 정도 유예를 둔다면 투자에 2년 정도 걸리는 SKT나 LG유플러스엔 불리하고, 2년 이후가 된다면 2배 빠른 LTE를 위해 900MHz 혼신제거에 올인해야 하는 KT가 불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