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산중위·나주화순)은 15일 한전으로부터 받은 전력 구입단가와 국내 50대 기업별 전력사용량 및 구매단가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
신 의원실 집계에 따르면 올 1분기 한전이 발전사로부터 사들인 전력 구입단가가 1킬로와트시(㎾h)당 156원이었는데, 한전이 50대 기업에 제공한 평균 판매단가는 97.79원/㎾h이었다. 한전이 운영비를 빼고도 1㎾h당 60원 가까이 손해를 봤다는 것이다.
실제 한전의 3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올 1~3월 한전의 전력 평균 구입단가는 150.9원/㎾h, 전력 평균 판매단가는 110.4원/㎾h으로 40.5원씩 밑지면서 팔았다. 국민과 국내 기업 모두가 최소 1㎾h당 40.5원씩의 특혜를 누린 셈이다. 특히 신 의원실 집계에 따르면 산업용 요금제를 적용 받는 50대 기업은 전체 평균보다 좀 더 낮은 가격에 전력을 사용하며 평균치보다 좀 더 많은 ‘특혜’를 봤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쓰는 삼성전자는 이 기간 4741GWh의 전력을 쓰고 1㎾h당 97.22원씩 총 4610억원의 전기요금을 냈는데 이를 한전의 전력 구입단가(156원/㎾h)로 계산하면 7586억원으로 약 2786억원 늘어난다. 유가 급등으로 높은 정제마진을 누린 정유 4사 역시 그 차액이 1758억원에 이른다.
정부는 지난해 초 발전 연료비와 연동해 한전이 전기요금을 연 최대 ±5원/㎾h까지 조정할 수 있는 연료비 연동 요금제를 도입했으나 물가 부담 우려를 이유로 줄곧 한전의 인상 요청을 거부해 오다가 올 7월에서야 5원/㎾h 인상을 결정했다.
신 의원은 “한전 적자의 본질적 원인은 (발전) 연료비를 제대로 반영 못하는 경직적 전기요금 구조”라며 “전기요금 산정은 시장 원리에 따라 연료비를 제대로 반영하되 취약계층과 일반 가정에는 국가 재정을 통해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