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상기 공자위 공동위원장은 17일 본회의를 마친 후 가진 브리핑에서 "현재의 시장 여건상으로는 당초 계획했던 틀을 유지하면서 입찰 절차를 진행할 경우 유효경쟁을 통한 지배지분의 매각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면서 우리금융 민영화 절차를 중단하기로 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관심을 모았던 지방은행 분리 매각도 일단 중단됐다. 민 위원장은 "지주사에 대한 유효 경쟁이 어렵게 될 경우 지방은행 인수 희망자의 제안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측면에서의 비교가 어려워 지방은행분리 여부도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민 위원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입찰 절차를 형식적으로 진행해 시장의 불확실성과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킬 수는 없었다"며 "현재까지의 시장 테스트를 토대로 보다 건설적인 대안의 논의를 시작하는 게 우리금융지주의 성공적인 민영화에 더 부합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민 위원장은 "현재 정부의 관리하에 있는 우리금융지주의 형태가 상업은행으로서 효율성과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언급했다. 그는 "조속한 민영화의 의지는 그대로다. 만약 그런 의지가 없다면 오히려 (이런 무의미한 입찰을) 계속 끌고 갔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자위는 향후 우리금융지주 지분의 매각 방식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은채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새로운 트랙으로` 추진하겠다고만 밝혔다. 전체적인 뉘앙스로는 유효한 경쟁 입찰이어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된다는 경직된 개념을 다소 완화하는 방식일 것이라는 쪽이다. 공자위는 우리금융 지분 블록세일과 수의계약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우리금융 지분에 대한 4차례의 `블록세일`을 통해 현재 56.97%의 지분을 갖고 있다.
우리금융 매각 입찰은 강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됐던 하나금융이 외환은행 인수로 방향을 돌린데다 독자 민영화를 추진했던 우리금융 과점 컨소시엄이 입찰 포기를 선언하면서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관측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