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매각은 채권단이 손실을 감수하고 이전 기업 오너에게 경영권을 되돌려주는 거래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개별 채권단이 지분 매각으로 회수하는 금액은 크지 않은데 비해 매각 이후 제기될 수 있는 각종 논란과 의혹에 대한 리스크는 더 큰 형국인 셈이다.
5일 투자금융(IB)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조만간 채권단 회의를 열어 매각가격 도출을 논의할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박삼구 회장측은 최근 두 차례에 걸쳐 실무진 협의를 가졌지만 가격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가격을 주도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산업은행은 채권단 협의 가격으로 협상에 나서기로 방침을 정하고 채권단 회의를 열기로 한 것이다. 금호산업 최대주주로서 산업은행과 함께 가격 협상에 나서기로 했던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협상 주체로 나서기를 거부하면서 산업은행 역시 주도적으로 나서기를 꺼리는 셈이다.
금호산업은 지난 2010년 워크아웃(기업개선절차) 돌입 이후 지난해말 채권단 보유 지분 매각을 전제로 워크아웃을 졸업해 경영 정상화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채권단은 보유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워크아웃 과정에서 입은 손실을 만회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금호그룹 워크아웃으로 재무적 투자자들과 채권은행들이 입은 손실을 만회하려면 각각 주당 6만원선, 12만원 수준에서 매각이 이뤄져야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밖에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대출을 해줬던 일부 채권은행들은 1조원대 추가 손실을 입은 상태다.
IB업계 관계자는 “협상 주도권을 쥘 경우 추후 헐값 매각 시비 논란을 뒤집어 쓸 수 있는 만큼 차라리 책임회피 시비가 더 나을 수도 있다고 봤을 것”이라며 “최대주주인 미래에셋과 매각 주관사인 산업은행 모두 가격협상에서 주도권을 쥐지 않으려할 경우 금호산업 매각 성사를 장담키 어렵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