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기재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기재부는 내년부터 원화 외평채를 발행하기 위해 한은 등과 협의하고 있다. 원화 외평채는 2003년 국고채 통합 발행으로 전환된 이후 한 번도 없었다.
정부가 1~2년 단기로 원화 외평채를 발행할 경우 외환시장 개입 수단으로 활용될 여지가 큰 것으로 보인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지금 당장 활용할 수단은 아니지만 제도를 만들어놓자는 취지”라며 “원화채를 발행해 달러화를 매수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작년, 올해처럼 원화가 약세를 보일 경우 외환당국은 외환보유액의 달러를 매도해 원화 약세를 방어해왔다. 현재도 원·달러 환율이 1320원대에 달하는 환경에선 달러 매수 개입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다.
외환당국은 주로 한은이 원화를 찍어 달러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달러 매수 개입을 해온 바 있다. 다만 한은은 풀린 원화를 통화안정증권 등을 발행해 흡수하는 식으로 처리해왔다. 정부는 달러화 표시 외평채를 발행해왔지만 외화 표시 외평채는 발행 한도가 있다. 이에 따라 원화 표시 외평채를 발행하면 원화를 조달해 달러 매수 개입을 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은을 통해서도 달러 매수 개입이 가능한 데 왜 지금 정부가 나서서 원화 외평채를 발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도 생긴다. 이에 대해 외환당국 관계자는 “환율 안정을 위해 한은도 하지만 정부도 독자적으로 할 수 있다”며 정부의 수단을 확충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외환당국 관계자는 “채권 발행을 수시로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동일 만기 물량이 어느 정도 되고 유동성이 생겨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얼마나 할지는 시장 상황을 보면서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가 달러 매도-매수 양방향으로 스무딩오퍼레이션 차원의 툴로 활용하려는 심산인 것 같다”며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으로 환율이 어디로 튈지 모르니까 그 전에 툴을 만들어 놓으려는 심산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