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편의점에서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하기 시작한 이후 종사자 사이에서 감염을 우려하는 불안증이 커지고 있다. 키트는 모객 효과와 이윤이 큰데다가 필수품이라서 다룰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이들의 불안을 달래고자 업계는 고심이다.
| 지난 16일 서울 강남구 CU BGF사옥점에서 직원이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소분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
22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편의점에서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하기 시작한 이후 코로나 19 감염에 대한 우려를 호소하는 종사자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있는 특정 고객층 방문이 잦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물론 불특정 다수에게 24시간 열린 공간이라는 점에서 확진자 접촉 가능성이 상존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보다 지금이 여지가 커진 상황이다. 키트를 찾는 이들은 코로나19 확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A사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는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한 이후 직원이 그만둬 구인 중”이라며 “평소 코로나 19 감염을 우려해온 게 사직으로 이어진 걸로 안다”고 말했다.
편의점으로서는 딜레마다. 자가진단키트는 모객 효과와 이윤이 커 편의점 본사와 점주가 놓치기 어려운 품목이다. 키트는 확진 판정을 받는 데 필수품인데, 구매할 수 있는 곳은 약국을 제외하면 편의점뿐이다. 판매 마진도 많게는 40% 가까이 돼 달콤하다. 정부 주도로 키트 판매가를 6000원을 정가로 매긴 탓이다.
경쟁사 간에 가격 경쟁이 붙을 리 없는데도 반드시 팔리는 품목이다 보니 다루지 않는 게 손해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 종사자 불안이 맞물려 있어 변수다. 이윤과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게 업계 고민이다. 고용이 불안하면 점포 운영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282330)이 종사자 확진에 따른 인건비를 지원하기로 한 결정도 이런 맥락으로 해석된다. CU는 가맹점주 확진이나 자가 격리로 발생하는 추가 인건비 가운데 시간당 최저 임금(9160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지원한다. 한도는 1만1000원까지다. 확진 불안을 달래려는 최소한의 조처로 풀이된다.
편의점 회사 관계자는 “키트 판매를 시작하고 종사자 사이에서 감염 불안을 호소하는 맥락을 이해하고 있다”며 “위생 관리를 전보다 강화하도록 주의를 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