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을 향해서는 ‘강대강·선대선’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제시한 데 그친 채 새로운 전략 노선 없이 국방력 강화 의지만 되풀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북미협상 교착과 경제난 장기화 속에 뾰족한 묘수가 없는 북한의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읽힌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전날 김정은 총비서가 결론에서 “핵전쟁 억제력을 보다 강화하면서 최강의 군사력을 키우는데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 총비서는 “인민군대 최정예화, 강군화하기 위한 사업에 계속 박차를 가해 그 어떤 형태의 위협과 불의적 사태에도 국가방위의 주체로서 사명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신년사에서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대화 재개를 위한 ‘비대면 방식’의 대화 추진 의사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핵심 동력은 대화와 상생 협력”이라며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고, 비대면의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는 우리의 의지는 변함없다”고 말했다.
통일부도 문 대통령 제의 다음 날인 12일 곧장 긴급 입찰공고를 내고 4억원을 투입해 북한과 영상회의실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이 호응하면 어떤 방식이든, 언제든, 남북 간 대화가 가능하며 우리 정부는 준비가 돼 있다”고도 재차 밝혔다.
그는 “강력한 교양과 규율을 앞세워 온갖 반사회주의, 비사회주의적 현상과 세도, 관료주의, 부정부패, 세외부담행위, 온갖 범죄 행위들을 견결히 억제하고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제시하는 한편 경제 분야에서도 통일적인 지휘를 강조했다.
그는 “국가의 통일적인 지휘와 관리 밑에 경제를 움직이는 체계와 질서를 복원하고 강화하는데 당적, 국가적 힘을 넣어야 한다”며 “당대회 이후에도 국가의 통일적 지도에 저해를 주는 현상은 어느 단위를 불문하고 강한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제일 걸리고 있는 경제 문제부터 시급히 풀어야 한다”며 “경제력을 타산 없이 분산시킬 것이 아니라 철강재 생산과 화학제품 생산 능력을 대폭 늘리는 데 최대한 합리적으로 동원·이용할 수 있게 경제 작전과 지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지난 5일 개막한 당대회는 이로써 12일까지 총 8일간의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이는 1970년 5차 당대회(12일) 이후 역대 두 번째로 긴 대회 일정이다.
한편 김 총비서는 12일 새로 뽑힌 당 지도부 간부들과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았다. 최측근인 조용원 당 비서가 11일 부문별 협의회에 이어 이번 참배 보도에서도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 이어 두 번째로 호명돼 주목된다. 특히 김 총비서 바로 오른편(김정은 기준)에 서 있어 권력 서열 3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조 비서는 이번 당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에 올라 서열 5위로 점쳐졌으나, 리병철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김덕훈 내각총리도 제치고 단숨에 서열 3위에 뛰어오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총비서의 여동생인 김여정의 당 직책은 제1부부장에서 부부장으로 강등됐다. 이날 참배에는 앞에서 4번째 줄에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은 오는 17일 최고인민회의를 소집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예산, 입법과 인사 등 당대회 후속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