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부흥기 이끈 김범수…'인사 실패'로 구속까지

카카오톡으로 모바일 혁명 이끈 인물
"100명의 CEO 키우겠다" 전략, 인사·내부 통제 실패로
책임 없는 '자율 경영'서 '중앙 통제'로 전략 바꿨으나
조직 내 '새로운 경영체제' 뿌리 내리기도 전에 '구속'
시세조종 등 법적 판단 요하는 업무 산적해 있...
  • 등록 2024-07-23 오후 2:18:50

    수정 2024-07-23 오후 2:19:28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아온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남부지방법원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사진= 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카카오톡, 카카오택시 등 국민적인 서비스를 출시하며 승승장구하던 카카오(035720)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23일 구속되자 그의 ‘자율 경영’ 전략이 실패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책임 경영을 할 만한 인사나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자산 규모 9배 불어나는 동안 속출한 도덕적 해이 논란

김 위원장은 2010년 카카오톡 출시로 유료 문자 메시지를 무료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출시, ‘모바일 혁명’을 이끈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1999년 한게임 창업, 2000년 한게임을 네이버와 합병한 후 NHN을 설립하는 등 IT업계에서 성공을 입증한 후 카카오톡을 출시해 또 한번 돌풍을 일으켰다.

그 뒤로 게임, 택시 등 모빌리티, 뱅크·페이·증권 등 금융,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등 기업 규모를 빠르게 키웠다. 다음과 합병한 후 상장한 2014년까지만 해도 카카오의 자산 규모는 고작 2조 8000억원에 불과했으나 불과 9년 만인 작년 25조 2000억원으로 무려 9배나 불어났다. 연결 종속회사도 26개사에서 175개사로 7배 가까이 늘어났다.

카카오는 2016년 로엔엔터테인먼트 인수, 2018년 카카오페이지(舊 포도트리), 2021년 지그재그 인수를 비롯해 구속의 빌미가 됐던 작년 에스엠(041510)(SM엔터테인먼트) 인수까지 사업 확장에 주력해왔다. 또 2020년 카카오게임즈 상장을 시작으로 2021년엔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을 연달아 상장했다.

카카오의 대부분의 회사들은 ‘투자 회사’ 위치에 있어 이들을 상장하면서 자금을 회수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견 당연해 보이지만 주주들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쪼개기 상장’ 논란으로 카카오의 기업 가치가 하락하며 주가는 떨어졌다. 상장한 계열사 임원들이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대거 행사,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소액주주들의 불신은 더 커졌다. 무리한 사업 확장과 상장이 김 위원장을 구속에 이르게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카카오엔터 상장 가치를 높이기 위해 SM엔터 인수를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SM엔터 주가 조작 혐의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 모빌리티 역시 상장에 따른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인맥 동원한 ‘자율경영’하다 뒤늦게 전략 바꿨는데 ‘구속’

김 위원장은 2021년까지도 ‘자율 경영’에 무게를 실었다. 그는 그해 재산 절반을 기부하겠다고 밝혔는데 관련 인터뷰에서 “10년 전 스타트업 CEO 100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결국 카카오 공동체라는 결실을 맺었다”고 밝혔다.

자율경영이 성공하기 위해선 인재 영입이 중요한데 김 위원장은 학연, 지연에 크게 의존했다. 일각에선 ‘사람 보는 눈이 없다’는 평가까지 받았다. 남궁훈·여민수·이석우·임지훈·조수용·홍은택 등 전 카카오 대표 모두 김 위원장과 친분이 깊은 인맥 카르텔 인사라는 지적이 나왔었다. 자산이 25조원에 달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지만 스타트업 시절처럼 변변한 내부 통제 시스템 또한 없었다는 비판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작년 말부터 “카카오라는 회사 이름까지 바꿀 수 있다는 각오로 임하겠다”며 콘트롤 타워인 CA협의체를 만들고 준법과신뢰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경영 쇄신을 위한 조직을 정비했다.

그럼에도 카카오뱅크 상장 후 3거래일 만에 보유 주식을 매도해 66억원의 차익을 얻은 정규돈 최고기술책임자(CTO)를 4월 카카오 CTO에 앉히는 등 아직도 논란이 있는 인물을 기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여주기식 경영쇄신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 CTO는 재직기간에는 카카오뱅크 주식을 처분하지 않는다고 약속했다.

겉으로는 인사나 내부통제를 강화할 만한 조직은 정비됐지만 중앙집권화된 강화된 리더십이 조직 내 뿌리깊게 자리잡으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런 시간을 갖기도 전에 김 위원장이 구속되면서 ‘내실경영, 책임경영’이 현실화될지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감독 당국의 제재를 받거나 법적 판단을 요하는 갖가지 업무들이 산재해 있다. 카카오 모빌리티의 경우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금융당국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모빌리티 자회사 KM솔루션은 가맹사업법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중이다. 서울남부지검은 SM엔터 주가 조작 외에도 카카오 엔터의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 모빌리티의 콜 몰아주기 의혹,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관계사 임원들의 횡령·배임 혐의 등을 수사하고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