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지역간 성장률 격차가 확대되는 가운데, 수도·충청권에 비해 동남·호남·대경권의 성장 부진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1990~2010년중 동남·호남·대경권 연평균 성장률(5.8%)은 수도·충청권(6.4%) 대비 90%였지만, 2011~2022년 중에는 40% 수준에 그쳤다.
정 팀장은 두 지역간 성장 격차는 생산성 격차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2011~2022년 중 두 지역의 성장률 격차(1.9%포인트) 중 총요소생산성 격차가 1.0%포인트(51.7%)에 달했다. 한은은 이같은 생산성 격차가 앞으로 5년간 지속될 경우 수도·충청권 이외 지역 인구는 4.7% 유출되고 생산(GRDP)은 1.5%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정 팀장은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해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이 꾸준히 추진됐지만, 비수도권 대도시에 대한 투자는 과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사회 인프라를 위한 투자적 지출의 GRDP 대비 비율은 비수도권 대도시에 속한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2011~2021년 중 1.4%(연평균)로 중견도시(3.9%)와 소도시·군(16.0%)에 비해 크게 낮았다.
|
정 팀장은 지역개발 재원이 한정된 만큼, 투자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소수 거점도시 중심의 균형발전을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비수도권 대다수 지역이 비슷하게 쇠퇴하는 것보단 거점도시 중심의 직접 이득이 주변에 고루 파급되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향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민간투자 여건 개선을 위해 과감한 개별 기업 맞춤형 지원 등을 강화해야 한다”며 “거점도시 투자에 인재 유입이 동반되기 위해선 교육·문화·의료 등 대도시 서비스의 질 제고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