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과 김 씨는 이날 고려대 교육방송국(KUBS)이 주최한 토론회에 참석, 20대 젊은이들의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50여명의 대학생들이 방청객으로 참석했고, 토론회는 예정된 시간을 넘기며 열띤 분위기를 연출했다.
큰 틀에서 등록금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생각이 같았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이견이 드러났다. 특히 재원 마련 방안, 부실대학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서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며 팽팽히 맞섰다.
김 씨는 “반값등록금을 위해 필요한 재정이 6~7조원인데 4대강 사업에 22조원이 들고, 부자 감세 등을 통해 수조원의 세수가 날아갔다. 반값등록금을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는 것이 정부”라고 비판했다.
이에 이 위원은 우선 “정부와 당의 정책 다르다”고 선을 그은 뒤 “4대강은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이고 1회성 사업이다. 반값등록금은 공공재로 인식되고 매년 6~7조원이 계속 들어간다”고 반박했다.
그는 “부자 증세 이런 얘기와 등록금 반값 인하를 수평적으로 적용하자는 주장은 입장이 배치되는 것 아니냐”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부실대학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서도 공방이 펼쳐졌다.
김 씨는 “부실대학에 진학했다는 낙인을 안고 살아가야 하는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대학 구조조정에 반대한다”며 “대학의 기업화 정책으로 기업이 이득 얻을 지는 모르겠지만 학문의 다양성은 침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부실대를 정리하는 게 아니라 살릴 가치가 있는 대학들을 지원하는 부분도 있다”며 “이런 것을 낙인 찍힌다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선동적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김 씨 역시 물러서지 않고 “단순히 선동이라고 말씀하시는 게 부실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에 대한 고통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부실 대학에 선정된 학생들은 졸업해도 갈 곳이 없다는 말을 인터넷에서 봤다. 구조조정 하는 방향을 보더라도 기업의 이익에 도움되는 방향으로만 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청년실업 문제에 대해서는 이 위원은 “대학교육의 방향성과 기업의 인재상이 불합치 되고 있는 것 같다”고 했고, 김씨는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