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위안부 합의와 관련, “정말 이해할 수 없다”며 “일본 아베 총리의 치밀한 전략에 완전히 놀아난 외교적 실패”라고 비판했다.
1964년 서울대 문리대 학생회장으로 한일회담 반대투쟁의 주역이었던 김 이사장은 “한일관계 개선과 정상화는 정치, 외교, 경제적으로 반드시 필요하고 국익에 맞다”면서도 “위안부 할머니의 반대는 물론 국민적 공감대 없이 이뤄진 이번 합의를 놓고 일정기간 정권을 위임받은 정부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고 표현한 것은 정권의 오만”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87년 체제의 극복을 위해 개헌의 시급성도 강조했다. 군정종식과 장기집권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현행 헌법은 그 수명이 다한 만큼 시대상황에 맞는 정치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개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여야 의원들이 개헌 정족수인 200명을 넘는다. 개헌이 블랙홀이라고 하지만 총선 이후 자연스럽게 개헌 논의가 일어날 것”이라면서 “차기 대선 전에 반드시 개헌이 이뤄져야 한다. 아니면 주요 대선 후보들이 앞으로 개헌을 하겠다고 약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