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쉴더스 화이트해커 그룹 이큐스트(EQST)는 20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생성형 AI로 인한 보안 위협과 방어 전략’에 대해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큐스트에 따르면 현재 해커들은 다크웹을 중심으로 챗GPT 등 생성형AI를 활용한 악성코드나 랜섬웨어 등의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있다. 실제로 다크웹을 확인해보면 챗GPT를 활용해 해당 코드를 작성해봤다는 경험담과 사진이 잇따르고 있다. 챗GPT를 활용해 파일 탈취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밝힌 한 공격자는 “챗GPT를 통해 변종 악성코드 기술을 구현했다”며 “업로드 또는 프로그램 오류 발생 시 폴더와 압축파일이 안전하게 삭제돼 증거도 사라진다”고 게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호석 이큐스트 랩 담당은 “생성형 AI를 사용해 악성코드를 직접 제작하는 건 현 수준으로는 어렵지만, 백신 우회 스크립트를 추가 작성하는 등 보조하는 방식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며 “또 다크웹이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악성코드 생성과 고도화 방법이 공유되고 있어 하반기 관련 위협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
이큐스트는 보안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나리오 모의해킹 △시큐어 코딩 △시나리오 모의해킹 △악성코드 분석 등에 생성형 AI를 적용했으나 활용도가 20~30% 수준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 담당은 “생성형 AI 모델이 발전함에 따라 악성코드 등을 분석하는 정확도와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여겨졌지만 보안에서 활용하기엔 초·중급 수준이었다”며 “점검이나 탐지 등 보안 각 영역에 특화한 AI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고 말했다.
특히 AI를 다른 방식으로 학습시켜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지 못하게 막거나 탐지를 회피하는 데 활용하는 ‘추출 공격’이나 AI가 개인정보를 유출하도록 유도하는 ‘추론 공격’도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재우 SK쉴더스 이큐스트 사업 그룹장은 “향후 생성형 AI가 더 고도화하면 사이버 공격도 자동화할 수도 있다”며 “이큐스트는 방어 측면의 생성형 AI 적용에 대해 연구해 생성형AI 공격에 대한 대책을 선제적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