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첫 단추’를 가볍게 여기는 사람이 있을까. 그 사람들이 모인 조직이나 기관도 마찬가지일 테고. 처음부터 잘 끼워야 그나마 깔끔한 마무리를 가져올 확률이 높아지는 건, 단추 달린 옷을 입어본 사람은 다 아는 일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첫 단추, 한 해를 운영할 전시·사업을 소개하는 그 자리가 첫 단추라면, 올해는 운이 없었다. ‘하필’ 그 전날 16건의 위법·부당 업무처리를 조목조목 들춰낸, 문화체육관광부의 특정감사 결과가 발표됐으니. 수많은 눈과 귀가 어디로 향할지는 ‘안 봐도 비디오’였던 거다. ‘신년 전시’보다 미술관의 ‘한 줄 해명’이 더 궁금했던 거고.
그렇게 여느 해에 비해 ‘순간 관심도’가 떨어지긴 했지만, 덜 중요한 일이어서는 아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연초에 내놓는 그해 ‘전시·사업 구상’은 미술관 자체의 행보로 보나 한국미술계의 방향으로 보나 가장 중요한 ‘첫 단추’일 수밖에 없다. 상징적·실질적 비중뿐만 아니라 예산과 인력 면으로 볼 때도.
게다가 올해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서울관을 개관한 지 10주년이다. 2013년 11월 문을 연 서울관은 그 이전까지 헤드쿼터이던 과천관과의 정서적 거리감까지 줄여내며 현대미술을 향한 퍼즐을 본격적으로 맞춰나갔더랬다. 이후 2018년 말 ‘보이는 수장고’를 내세운 청주관까지 열며 4관 체제(서울·덕수궁·과천·청주)를 갖췄는데, 그 큰 그림이 낯설지 않았던 것도 서울관에 묵직한 추를 매달 수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무엇보다 무시할 수 없는 건 관람객 수다. 지난해 국립현대미술관에 든 관람객은 282만명. 2021년의 165만명보다 117만명이 늘었는데, 미술관이 생긴 이래 가장 많았던 2019년의 274만명을 뛰어넘었다. 팬데믹으로 잠시 늦춰졌던 ‘300만명 돌파’가 눈앞이다. 다시 그 목표를 넘볼 수 있을지는 결국 올해의 전시내용이 좌우하게 될 터. 그 판을 가름할 ‘2023년 전시 라인업’인 거다. 서울관 11건, 과천관 3건, 덕수궁관 2건, 청주관 3건 등 총 19건이 바삐 돌아갈 예정이다.
|
미국 가는 한국 실험미술·채색화…‘미술한류’ 2년차
‘한국 실험미술 1960∼1970’ 전(5∼7월 서울관)은 올해 ‘공동주최’의 대표주자가 될 모양이다. 미국 뉴욕의 구겐하임미술관과 의기투합한 전시는 한국 실험미술의 ‘간판’이라 할 작가 26명의 작품·자료 100여점을 내놓는다. 강국진·김영진·성능경·이강소·이건용·이승택·최병소 등 이미 한국미술계를 충분히 달군 작가·장르를 해외에서 검증할 기회인 셈이다. 서울전에 이어 9월 구겐하임미술관을 찍고 내년 2월에는 로스앤젤레스 해머미술관까지 날아간다.
해외순회전으로는 ‘생의 찬미’와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이 있다. 지난해 6∼9월 과천관에서 한국 채색화의 안팎을 조명한 ‘생의 찬미’는 오는 10월 미국 샌디에이고미술관으로, 2021년 7∼10월 덕수궁관에서 ‘DNA’ 전으로 인기를 끌었던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은 오는 11월 중국 베이징 중국미술관으로 건너간다.
|
‘국립’ 장기 보여주는 기획…‘기하학적 추상’ ‘자수’
웬만한 사립미술관이나 갤러리가 따라잡기 힘든, ‘국립’의 장기를 제대로 보여주는 기획전에는 큰 기대가 쏟아지게 마련. 볼거리나 규모뿐만 아니라 이제껏 없던 담론·경향·지향을 꺼내놓기도 하기 때문인데.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11월∼내년 5월 과천관) 전이 올해는 그 역할을 한다. 김환기·유영국·변영원·서승원·이승조·한묵 등 한 사람, 한 사람이 새긴 붓길은 뚜렷했으나 지속적인 이론·운동으로 나아가지 못한 그 시대와 역사를 ‘기하학적 추상미술’이란 키워드로 처음 돌아보는 자리다.
내용보다 더 큰 의미를 더 챙길 시공간도 예정됐다. ‘동산 박주환컬렉션 특별전’(5∼10월 과천관)이다. 동산 박주환(1929∼2020)이 타계한 뒤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한 209점 중 주요작을 뽑아 꾸리는 전시는 ‘이건희컬렉션’을 잇는 기증문화 소개전으로서의 의의가 적잖다. 청년시절 액자·족자·병풍 만드는 표구기술로 출발한 박주환은 1961년 동산방을 설립해 정선·심사정·김홍도·신윤복 등 조선시대 거장은 물론, 이상범·천경자·박노수 등 근대대가의 작품을 도맡아 표구했더랬다. 이후 1975년 업종을 전환한 동산방화랑에선 전시·작가 발굴로 한국화 흐름을 주도했다. 박노수·이상범·정은영·김호득 등 근현대한국화역사에서 거를 수 없는 이들의 작품이 공개된다.
|
해외기관이 컬렉션한 ‘게임 소장품’ 10여점을 모으는 독특한 전시도 예고됐다. ‘게임사회’(5∼9월 서울관). 비디오게임이 세상에 나온 50여년 동안 축적한 ‘가상공간의 현실화’를 꾸려보자는 기획이다. ‘게임이 예술품인가’로 이미 논쟁을 겪었던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과 스미소니언의 소장품도 힘을 보탠다.
전시 라인업보다 운영문제 해결이 중요하단 ‘신호’
한국 근대와 현대를 대표하는 굵직한 두 작가의 개인전도 줄 세웠다. 장욱진(1917∼1990)과 김구림(87)이다. 가족·까치·집·마을 등 목가적인 소재로 향토색 물씬 풍기는 소박한 조형미, 단순한 절제미 등을 구현한 장욱진이 ‘근대의 작가’라면, 김구림은 단연 한국 실험미술을 대표한다. 1세대 전위예술가로 영화·비디오아트·무용까지 섭렵하며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했던 터. ‘장욱진’ 전은 덕수궁관(7∼10월)에서, ‘김구림’ 전은 서울관(8월∼내년 1월)에서 관람객을 맞는다.
어디 내놔도 빠지지 않을 작가와 테마가 줄줄이 대기 중인데도 굳이 ‘첫 단추’ 운운했던 데는 이유가 있다. 올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할 일이 ‘성공적인 전시’에만 있지 않다는 얘기다. 사실이든 구설이든 오해든, ‘감사결과’로 불거진 미술관 운영문제를 진중하게 풀어내야 할 새로운 숙제가 생겼단 소리다. 그 비중은 올해 예정한 19건 전시 그 이상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의 2023년 예산은 754억원. 이전 해에 비해 68억원 늘었다. 이 비용으로 ‘한국 실험미술’ 전을 미국에 보내고, 서울관 10주년을 기념하고, 소장품을 구입하고, 대전관을 건립하고, 시설보수·유지까지 한단다. 빠듯한 살림일 게 뻔하지만, 국내 미술기관 어디서도 쥐어보지 못한 예산인 건 분명하다. 그러니 움직일 때마다 들끓는 관심을 받는 게 당연할 수밖에. ‘새해 전시 라인업’을 제치고 감사결과에 이목이 집중됐던 건, 정작 중요한 게 뭔가를 알려주는 단면이기도 하다. ‘하필’이 아니라 ‘마침’ 그날이었던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