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도 지나지 않아 난민이 3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빠른 속도”라고 필리포 그란디 UNHCR 사무총장은 우려했다. 앞서 그는 지난 달 28일 “우크라이나 인구의 약 10%에 해당하는 400만명 이상이 앞으로 몇 주 안에 실향민이 될 수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최대 난민 수용국은 폴란드다. 우크라이나 전체 난민 중 60%, 180만명 이상이 폴란드로 탈출했다. 폴란드는 기차역 대기실이나 호텔 등을 임시 숙소로 개방하고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난민들을 돕기 위한 통역 등 자원봉사자도 투입했다. 하지만 티켓 창구나 화장실에 긴 줄이 늘어서는 등 대응에 한계가 오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처럼 특정 국가들에 부담이 집중되면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된 유럽 국가들이 이를 어떻게 나눌 것인지가 도마 위에 올랐다. 난민이 더 늘어나고 이들의 체류가 장기화하면 수용 국가들의 재정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시리아 난민 유입 이후 각 국가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반이민 정서다. 지난 2015년 시리아 난민 100만명 이상이 유럽으로 밀려들면서 각 회원국에서는 난민 범죄 등에 따른 국민 불만이 확산했고, 이에 유럽연합(EU)은 입국 규제를 강화했다. 이후 2020년 모든 회원국이 재정 부담을 나누는 새로운 방안이 제시됐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구체적인 논의가 멈췄다.
일부 국가는 난민 수용 의사를 내비쳤다. 지난 12일 몰도바를 방문한 아날레나 베어복 독일 외무장관은 일부 난민을 독일에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난민을 받아들이는 가정에 월 350파운드(약 57만원)의 사례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닛케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국들의 난민 수용 분담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라며 “민주주의 진영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공유하는 자세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