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형된 이들은 양강도 수의방역소장, 양강도 상업관리소 판매원, 농장 간부, 평양 모 식당 책임자, 군 복무 중 보위부 10호 초소(검문소) 군인으로 근무했던 대학생 등이다. 이들은 지난 2017년부터 올해 2월까지 병으로 죽은 소 2100마리를 판매한 혐의를 받는다.
북한에서 소는 음식이라기보다, 생산 수단의 역할이 더 크다. 또 개인이 소를 소유하거나 도축·판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어기면 단순 경제범이 아닌 정치범 취급을 받는다.
조선인민군 특별재판소는 피고인들의 죄목을 읽고 사형 판결을 내리자마자 말뚝에 묶여 있던 피고인을 한 명씩 총살한 뒤 다시 시신에 고사총을 사격했다. 고사총이란 중기관총 여러 정을 묶어 제작한 대공화기다.
이 장면을 2만5000여명의 주민이 목격했다. 이들은 비행장에 집결돼 보안요원과 군인에 둘러싸인 채 강제로 처형 장면을 봐야만 했다. 일부 목격자들은 “참혹한 장면이 계속 꿈에 나왔다” “병으로 죽은 소고기를 내다 판 것이 사형에 처할만한 정도의 죄인가”라며 토로했다고 한다.
|
김 위원장이 꺼낸 유화책의 하나로 소고기에 대한 규제도 한때 상당히 완화됐지만 이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악화로 다시 강화된 모양새다. 데일리NK의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소는 국가기관의 승인 없이 개인이 보유,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정확히 알리라”는 방침을 하달했다. 이에 따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는 당의 각 지부, 행정기관, 사법기관에 “농업용 소를 개인이 사적으로 소유, 밀매, 도축하는 행위를 철저히 통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번 처형은 이를 엄격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제가 완화됐던 시기의 영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데일리NK 재팬은 분석했다. 이 매체는 “이미 규제 완화 시기에 소고기 맛을 알게 된 주민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공포정치에 의한 지배를 계속하는 것도 점점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