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주도로 발표한 이번 공동 성명에는 한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2개국이 참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전문 군대는 행동에 대한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국민을 해치지 않고 보호할 책임이 있다”며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에게 무차별 총격을 가한 군부를 비난했다.
이는 ‘미얀마군의 날’인 27일 쿠데타 규탄 시위 참가자 중 114명이 숨졌다는 소식 이후 나왔다. 이는 지난달 1일 군부 쿠데타 이후 하루 기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다. 미안먀 인권단체인 정치범지원협회(AAPP)가 밝힌 누적 사망자 수와 이날 숨진 희생자들을 더하면 군부의 총탄에 사망한 사람 시민은 450여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 군부는 4살 이하의 어린 아이들부터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행인들까지 가리지 않고 무차별 폭력을 가하고 있다. 군부는 미얀마군의 날 시위 전날 미얀마 국영 MRTV 등을 통해 “머리와 등에 총을 맞을 위험에 처할 수도 있음을 배워야 한다”며 협박하기도 했다.
미얀마 주재 미국 대사인 토머스 바이다 역시 “어린이를 포함한 비무장 민간인들을 살해하는 것은 소름 끼친다”고 목소리를 냈다. 도미니크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분별없는 폭력을 종식하기 위해 국제사회 동반자들과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 담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이뤄지는 시위 활동에 대해 실탄이 사용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며 강한 어조로 비난하기도 했다.
미얀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긴급 정상회담을 개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톰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 보고관은 “전세계가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내지는 국제 긴급 정상회담을 열어야 한다”면서 “군부가 대량학살을 지속하고 있는데 비난과 우려 표시에 그치는 것은 공허하게 들릴 뿐이다. 원유와 가스 등 수입원과 무기 구매선으로부터 군부를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8개 국가들은 ‘미얀마군의 날’ 열병식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한데 이어 서방 국가들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미얀마 유혈 사태가 강대국들의 대리전 양상으로 번질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미얀마 군부는 여전히 여러 우호세력이 있다”면서 “미얀마 군부 학살 비난에 동참하지 않는 중국과 러시아 등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유엔 차원의 행동적 제재를 막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