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북은 23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약 11시간에 걸친 협의 끝에 내달 25~30일 금강산에서 남북 각각 100명씩 이상가족 상봉을 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서 남과 북이 8월29일 200~250명 정도의 생사확인 의뢰를 상대방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회보서는 9월13일, 그리고 상봉을 위한 최종명단은 9월16일 교환하기로 했다. 상봉 형식과 방법 등은 기존의 관례에 따르기로 했다.
당초 남측은 상봉 행사 개최지로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북측의 금강산 개최 안을 받아들였다. 또한 정부는 가급적 많은 인원이 조속히 상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북측과의 조율 끝에 100명 규모로 합의했다. 장소, 규모 모두 양보한 것이다. 남측은 다만 지난 8월15일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것처럼 시기적으로 ‘추석 계기’의 이산가족상봉은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이번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 하기로 한 것은 우리 정부의 성과로 꼽힌다. 이번에 상봉 정례화에 합의하면서 한번 행사에 적은 규모가 참여하더라도 꾸준히 상봉 진행이 보장되도록 틀을 마련한 것이다. 그러면서 남과 북은 올 11월 중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한 차례 더 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이 끝난 직후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추가로 개최해 협의하기로 했다.
남과 북은 이밖에도 이산가족 상봉의 생사확인, 서신교환 실시 등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하기로 했다.정부 당국자는 “이번 합의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위해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당면한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면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군포로 납북자의 생사확인 등과 관련해서는 북측의 어떠한 태도 변화도 이끌어내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우리 측은 기조발언 등을 통해 분단의 가장 큰 피해자인 국군포로 납북자의 생사확인 등에 대한 북한 측에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했지만 북측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