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들어 정부가 소유한 기업 최고경영자(CEO)중 첫 연임 사례이자 2001년 우리금융 출범 이후 연임에 성공한 첫 CEO다.
대주주인 정부가 소유 기업 CEO의 연임 불가라는 관례를 깨고 이 회장의 연임을 묵과한 것은 현재 진행형인 우리금융 민영화를 마무리하라는 주문으로 읽힌다.
이 회장은 지난 10년간 지연돼 왔던 우리금융 민영화의 물꼬를 텄고, 현재 진행중인 민영화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명분 때문에 회추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정부가 지난해 1년간 추진하다 실패해 잠정 보류된 상황이다.
당시 정부는 합병이나 지분 분산 매각 방식으로 정부(예금보험공사) 소유 지분 57%를 한번에 매각하는 방안(경영권 매각)을 추진했지만 까다로운 지주회사법 규제와 시장 플레이어들의 호응 부재로 성공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부 지분 일부를 매각한 후 예보와 체결하는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해제, 우리금유의 경영상 자율성을 높여 기업가치를 끌어올린 후 정부 잔여 지분을 매각하는 단계적 민영화 방안이 현실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팔성 회장도 "민영화 절차 진행으로 기업가치가 높아져 얻게되는 민영화 프리미엄이 곧 경영권 프리미엄"이라고 밝힌 바 있다.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는 "이 회장의 목표는 MOU 해제 뿐만 아니라 회장 임기 내 정부 지분을 모두 없애는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임기가 앞으로 2년밖에 남지 않았고 정권말 정부 정책 추진동력이 떨어진다는 점, 또 불확실한 금융시장 여건을 생각할 때 쉽지 않은 목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료들과 대주주(예금보험공사)를 우선 설득해야 하고 우리금융 임직원들의 동력을 한데 모아야 한다. 또 민영화의 사전 공사로 점차 관료화되고 있는 우리금융 임직원들의 체질도 뜯어고쳐야 한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과 긴축 경영을 하다보니 3년이 후딱 지나갔다"고 토로한다. 이 회장의 새로운 임기엔 이런 변명이 통하지 않는다.
이 회장은 지난달말 임원 회의에서 "조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은 조직과 개인을 위해서라도 자기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 곳에서 일하라"며 임원들에게 화를 냈다고 한다.
당시 상황은 강만수 경제특보 겸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의 우리금융 내정설로 이 회장의 연임 가능성이 불투명한 시점.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는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전체 임원들의 분위기가 싸늘했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우리금융 안팎에서는 이 회장이 연임을 계기로 그룹 체질을 뜯어고치는 공사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 우리은행장과 경남은행장, 광주은행장 선임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 이전 임기와 비교해 이 회장의 그룹 장악력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민영화 이전까지 주인(정부)때문에 이 회장의 활동반경이 제한돼 있겠지만, 이런 장애물속에서도 이 회장이 어떤 성과를 낼 지 주목된다.
▶ 관련기사 ◀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연임 유력(재종합)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연임 유력(종합) ☞우리금융 회장 후보 면접 끝나..이팔성 회장 연임 유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