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조용훈(48)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교수가 광반도체에 3차원 나노구조를 도입한 신개념의 반도체 포토닉스 광원 및 광제어 기술을 개발한 업적으로 미래창조과학부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월 수상자로 7일 선정됐다.
| 조용훈 KAIST 교수 |
|
기존 광반도체 소자는 제조과정이 편리한 2차원 평면구조를 주로 이용했다. 반면 3차원 입체구조를 이용하면 결정품위를 개선하고 표면적을 넓힐 수 있어 광반도체 소자의 성능개선과 새 기능을 확보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조 교수는 이에 광반도체를 나노크기의 3차원 구조로 제작, 이를 토대로 △축 방향으로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나노막대를 이용한 광자 다이오드 △3차원 구조의 꼭지점에 양자점을 형성시킨 초고속 단일광자 발생기 △형광체 없이 다채로운 색깔을 내는 무형광체 백색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주도적으로 개발했다.
그는 그래핀을 이용한 양자점에서의 가시광 발광현상 원인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환경 친화적인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광원의 가능성도 보였다.
조 교수는 이에 대해 “연구성과는 차세대 정보통신 분야와 에너지 환경문제 해결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광자 다이오드는 전자보다 속도가 훨씬 빠른 빛을 이용한 초고속 광집적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핵심소자이고 초고속 단일 광자 발생기는 차세대 양자정보통신 분야에 필수적인 양자 광원”이라는 것이다.
조 교수는 최근 3년간 ‘네이처 포토닉스’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나노레터스’, ‘피지칼 리뷰 레터스’ 등 국제학술지에 45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지금까지 총 200편 이상의 국제논문을 출간했다.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매월 1명에게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준다. 수상자는 장관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을 받는다 .
| 조용훈 KAIST 교수의 연구성과를 표지논문으로 실은 국제 학술지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