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OECD의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OECD 평균(6.58점)보다 낮았다. 한국인의 삶 만족도 순위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
삶의 만족도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졌다. 15∼29세의 만족도(6.32점)는 50대 이상(5.33점)보다 높았고, 30∼49세의 만족도는 3개 세대의 중간인 6.00점이었다.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기는 했지만 한국 어린이가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은 하루 48분으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짧았다. 15∼19세에 학교를 다니지 않고 취업 및 훈련도 안된 채 방치된 비율도 9번째로 높았다.
그러나 학업성취도 면에서 한국 학생들의 순위는 높았다. 15세 이상의 읽기능력은 2위, 컴퓨터 기반 문제 해결 능력은 1위였다.
한국은 ’사회 연계 지원‘(perceived social network support) 부문에서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꼴찌였다.
사회 연계 지원은 어려울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부문이다. 한국은 사회 연계 지원 점수는 지난해 72.37점으로 OECD(88.02점) 평균에 크게 못 미쳤고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또 밤에 혼자 있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 역시 한국(61점) 순위가 28위로 하위권이었다.
한편, 정신적인 삶은 황폐하지만 물질적인 바탕은 세계 금융위기 이후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은 2013년 기준 2만270 달러로 금융위기 여파로 휘청거린 2009년보다 12.28% 상승했다. 이는 OECD 29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OECD는 “한국은 2009년 이후 가계 수입·금융 자산·고용의 증가, 장기 실업률 감소 등 대부분의 물질적 웰빙 지수가 좋아졌다”고 밝혔다.
다만, OECD에는 저성장기에 진입한 선진국과 재정위기로 타격을 받은 유럽 국가들이 많아 한국이 금융위기 이후 물질적 지수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