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 계획~실행 전 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돼 지역의 정체성에 걸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을 실현하게 되며, 마중물사업에 4~5년에 걸쳐 100억~500억 공공지원을 받는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관련법에 따라 지자체장이 지정할 수 있다. 선정된 지역은 지역별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계획을 수립, 실행, 자력재생단계를 밟는다. 시는 이번에 처음으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앞서 약 1년간의 ‘사전 준비단계’를 도입, 공모부터 지정까지 약 1년간 주민들의 공동체활동 역량 기반과 생태계 조성을 선행하기로 했다.
|
시는 오는 28일 이들 3개 유형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과 관련한 25개 자치구 통합 설명회를 개최, 세부내용을 설명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주민의 자발적 공감대와 지역역량이 부족한 도시재생 초기단계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지정돼 그동안 사업추진에 일부 어려움을 겪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이제 ‘서울형 도시재생의 틀’이 마련되고, 활성화지역 지정 이전부터 도새재생에 대한 공감대형성 및 주민역량강화가 이루어지면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지역 활성화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