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용준 경희대 교수는 비관세장벽의 주요 이슈와 사례를 소개하는 제1세션에서 “무역기술장벽과 위생검역 등의 비관세 조치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결방안으로 ‘고위급 규제협력 포럼’ 등 위원회를 활용해 무역 저해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극제 경희대 교수는 “서비스·투자 장벽 해소를 위해 다른 국가 또는 국제기구에서 보유한 무역장벽 데이터베이스(DB)를 기업에게 제공해 사전적 대응은 물론 사후적인 조치가 병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제레미 해리스(Jerremy Harris) 미주개발은행(IDB) 이코노미스트는 IDB가 운용중인 무역정보시스템을 소개하면서 우리나라 비관세장벽 DB구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제2세션에서는 중국의 비관세장벽 대응전략이 소개됐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식약 부문 통관 및 위생기준 상향에 따른 대(對)중국 수출 지연과 비용확대 우려를 제기하며 “한중상호인정협정 확대와 중국 내에서 특허출원을 통한 시장선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남아의 비관세장벽 대응전략을 소개하는 제3세션에 나선 심원섭 무역협회 교수는 “동남아는 오랜 역사적 배경이나 문화적인 측면에서 발생하는 무역장벽이 대부분으로 사회·문화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연구위원은 “동남아 국가들도 자국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수입식품의 통관검역을 철저히 하는 만큼 우리 수출기업도 먼저 체계적인 위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업계와 정부가 사례별 비관세장벽 해소 대응 매뉴얼을 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했다.
KOTRA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저성장 기조 속에서 자국 산업 보호와 육성을 위해 다양한 보호무역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관세보다는 비관세장벽을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 기업에 가장 부담되는 것은 무역기술장벽(TBT), 위생검역(SPS), 통관지연 등인데 미국은 물론 중국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흥국에서도 이러한 조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당분간 자국기업 보호를 위한 비관세조치 등 무역장벽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관세장벽 대응은 업계는 물론 정부와 KOTRA 등 유관기관들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강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