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채택된 결정서를 통해 “핵시험 중지는 세계적인 핵군축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며 우리 공화국은 핵시험의 전면중지를 위한 국제적인 지향과 노력에 합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핵실험 중단이 핵보유국 입장에서의 핵군축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특히 “우리 국가에 대한 핵위협이나 핵도발이 없는 한 핵무기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그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와 핵기술을 이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핵무기 선제 불사용과 비확산 주장은 그동안 핵보유국이 펴 온 논리다.
|
반면 핵무기 사용을 위한 운반체인 탄도미사일 분야에선 아직 기술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혁명’이라고까지 칭한 ‘백두산 엔진’ 개발 성공으로 탄도미사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해 9월 6차 핵실험을 통해 ‘핵무력 완성의 마지막 단계’라고 언급한 이후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인 ‘화성-15형’의 시험발사 직후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다. 화성-15형은 시험발사 당시 고도 4475km, 비행거리 950km를 기록했다. 이것을 최소에너지 궤도로 정상 발사할 경우 사거리가 1만3000km 달한다. 미 대륙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는 의미다.
北 ICBM, 재진입·핵탄두 소형화 기술 미흡
핵을 실제 미사일에 탑재하는 핵탄두 소형화 달성 여부도 불분명하다. 만일 소형화에 이미 기술적으로 도달했다면 더 이상 핵실험은 필요없다. 하지만 지난 6차 핵실험이 핵융합 반응을 확인한 첫 시험이었다는 점에서 핵장치(nuclear device)로 실험했을 가능성이 높다. 수소탄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핵탄두 형태로 한 차례 이상 추가 핵실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북미간에 비핵화 협상 실패시 북한이 실제 미사일에 탑재해 공중에서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연구원은 “북한이 미사일에 탑재해 추가 핵실험을 하고 싶어도 재진입 능력의 확보가 없이는 확실한 핵억제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핵실험을 할 수 없다”면서 “탄도미사일의 재진입 능력 확보 여부가 마지막 핵실험의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