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22일 오후 3시30분 긴급 브리핑을 통해 “농협 해킹에 활용됐다고 발표했던 중국IP(101.106.25.105)를 정밀 분석한 결과, 농협 직원이 사내 정책에 따라 사설IP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21일 KBS, MBC, YTN, 신한은행(055550), 농협, 제주은행 등 6개 기관 중 농협을 해킹한 IP가 중국발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민·관·군 합동조사반의 조사 결과 이는 농협의 사설IP를 중국IP로 오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이 IP 부족으로 쓴 사설IP가 중국IP와 겹쳤고 이를 착각했던 것이다.
이재일 한국인터넷진흥원 본부장은 “그 당시에는 중국IP라고 판정돼 그렇게 발표했다”며 “추가로 서버로그 등을 분석해 보니 농협의 사내IP를 (중국IP로) 오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농협을 해킹한 IP는 어느 나라를 거쳐 들어왔을까.
통상 해킹 공격은 여러 단계를 거쳐 이뤄지기 때문에 농협 해킹은 해외를 통해 농협의 사설IP를 경유지로 사용했다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러나 정부 당국은 이번 사태의 범인을 추적하는 데 핵심적인 실마리인 IP주소마저 제대로 파악해 내지 못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러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방통위 측은 “21일 새벽에 (중국IP라는) 보고를 받아 이날 오전에 발표했는데 저녁 6시쯤 아닐 가능성도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같은 실수를 반복할까 봐 밤새 확인한 뒤 오늘 오후 발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