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3D 혼란 끝내자"..삼성에 '조목조목 재반박'

권영수 LG디스플레이 사장 "풀HD, 해상도, 시야각 모두 우리가 우수"
  • 등록 2011-03-10 오후 12:53:43

    수정 2011-03-10 오후 2:24:06

[이데일리 류의성 기자] LG디스플레이(034220)가 삼성전자에 대해 어떤 3D TV 구현방식이 우수한 것인지 소비자들의 혼란을 종결시키자고 제안했다.

또 삼성전자가 지적했던 사안에 대해 재반박하면서 LG의 FPR 3D 방식이 훨씬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LG의 FPR 3D TV 방식이 해상도나 3D 전환 기능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 "세계적 검증기관이 풀HD 인증했다"

권영수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0일 열린 FPR 3D 간담회에 참석 "FPR은 이미 공인된 세계적인 외부 기관으로부터 풀HD 해상도를 구현한다는 것을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권 사장은 그 근거로 인터텍과 중국제3연구소, 중국전자표준화연구소, CEA 인증했다는 인증서를 보여줬다. 그는 "중국제3연구소 등 검증된 기관으로부터 풀HD를 사용해도 좋다는 허가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또 "경쟁사가 FPR 3D가 풀HD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주장을 CEA(미국가전협회)에 제기하고 기준 변경을 요청하였으나 기각된 것으로 안다"며 "FPR이 풀HD를 지원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3D 구현 방식에 있어서도 기본 원리에서부터 차이가 있으므로 FPR이 더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FPR은 공간분할 방식이며, 삼성측의 셔터글라스방식은 시간분할방식이다. FPR은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과 똑같이 3D를 인식하기 때문에 훨씬 자연스럽고 편안하다는 주장이다. 권 사장은 일본의 3D 컨소시엄의 실험결과를 인용, 셔터글라스방식은 깜빡거림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 "해상도 및 시야각, 3D 안경 모든 면에서 경쟁사보다 우수"  해상도 면에서도 셔터글라스방식은 FPR 방식보다 밝기가 1/2 미만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블랙 영상을 삽입하고 셔터글라스의 두꺼운 안경 때문에 빛의 투과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권 사장은 "일본의 유명한 화질 전문 교수 연구결과를 봐도 FPR은 좌우 시야각을 모두 만족하지만, 셔터글라스는 좌우시야각과 회전시야각에서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안경 역시 FPR 방식이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FPR안경은 가볍고 호환성도 뛰어나며, 전자파도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의 셔터글라스 3D 안경은 무겁고, 전자파도 나오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지적했다.   


◇ LG, 삼성에 "비교시연으로 소비자 혼란 종결시키자"

권 사장은 "소비자 혼란을 종결시키기 위해 삼성전자에게 정중히 제안을 드린다"며 5가지 안을 제시했다.

LG디스플레이가 제안한 것은 총 5가지. ▲해상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글로벌 기관으로부터 인정받겠다 ▲삼성이 요구하는 전문가 집단 비교시연도 구체적인 제안이 오면 즉각 응하겠다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시연에도 삼성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 ▲플리커(화면떨림)과 크로스톡(화면겹침), 휘도에 있어서 언론의 비교 기사 요청 ▲앞으로는 상대방을 비방하는 광고는 자제하길 기대한다 등이다.

권 사장은 "소니 등 해외 TV고객사에게 FPR 3D의 장점을 알리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며 "FPR을 선택하는 TV세트 메이커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자신했다.   ▶Digital쇼룸 스마트TV·가전 관련 동영상 보기◀ ☞ 홈 시어터, `스마트폰 시어터`로 재설계해봐`한국 3D콘텐츠 어디까지 왔나`스마트폰-TV 기묘한 동거, N스크린이 뜬다 ☞  삼성-LG전자, 에어컨시장에 불을 지피다`스마트TV와 인터넷TV는 어떻게 다른가`파나소닉 새 PDP, `벤츠 스마트 자동차가 쏙` ▶ 관련기사 ◀ ☞[일문일답]권영수 사장 "LG측 3D 진영 확대되고 있다" ☞권영수 LG 사장 "삼성, 3D TV 제발 비교 시연하자" ☞권영수 LG 사장 "삼성측 3D 전문가 비교 시연 제의, 응하겠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57세' 김희애, 우아美
  • '쾅' 배터리 공장 불
  • 엄마 나 좀 보세요~
  • 우승 사냥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