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에 따르면 비은행금융기관의 해외대체투자 규모는 지난 6월말 약 135조2000억원으로 추산됐다. 대체투자는 주식·채권 외 부동산·사회기반시설(SOC)·기업투자 등에 대한 투자를 통칭한다. 업권별로는 보험사(90조1000억원), 증권사(21조2000억원), 상호금융 중앙회19조2000억원), 여전사(4조4000억원), 저축은행(3000억원) 순으로 투자 규모가 컸다. 투자 지역은 북미(45.8%), 대상은 상업용 중심의 부동산(37.3%)의 비중이 높았다.
문제는 비중이 가장 큰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작년 하반기부터 하락 전환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는 6월말 기준 152.1로 고점 대비 17.3포인트(-10.2%) 하락했다. 오피스 공실률도 18.8%까지 상승하면서 추가 가격 하락압력이 커지고 있다.
증권사와 보험사는 해외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을 때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후순위·지분투자의 자본 대비 비율이 각각 8.8%, 5.5%로 여타 업권(0.8~2.9%)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선순위 투자자의 경우 부동산가격이 하락하면 담보물 매각을 통해 투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후순위·지분투자는 손실위험이 크다는 평가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투자의 만기 현황을 보면 1년 이내 만기 도래 규모는 증권사가 3조2000억원으로 가장 컸다. 특히 이 중 일부는 기한이익상실(EOD), 이자·배당 중단, 투자조건 조정, 공사 지연·중단 등 특이사항이 발생한 상태로 조사됐다.
다만 해외대체투자 손실이 커졌을 때 비은행금융기관의 손실흡수력 저하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업권별 자본비율은 모두 규제수준을 상당폭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외대체투자의 부실이 심화되더라도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란 평가다.
한은은 “해외대체투자의 경우 유동성이 낮고 정보 비대칭성이 높은 특성에 비춰 볼 때 투자 심사단계에서부터 리스크 평가 절차가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