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인터넷중독 위험군 비율은 2004년 첫 조사 이후 현재까지 감소(2004년 14.6% → 2014년 6.9%)한 반면,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2011년 8.4% → 2014년 14.2%)하고 있어 꾸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생애 첫 스마트폰 사용 연령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유·아동을 대상으로 한 스토리텔링 방식의 ‘유아용 놀이교구’를 신규로 개발·보급키로 한 점이다.
유치원생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쓰기 시작하면서 습관적 과다 사용으로 인한 현실과 동떨어진 ‘가상세계 지향’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조사에 따르면 만3∼9세 유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여부에 대해 부모의 33.6%가 ‘그렇다’라고 응답했고, 특히 자녀가 2시간 이상 이용하는 부모의 응답률은 63.6%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중독위험군은 10명 중 3명 꼴인 29.2%로 전년(25.5%) 대비 3.7%p 증가하여 성인 11.3%(2,999천명)의 약 2.6배에 달했다.
이밖에도 만 3세 이상 유·아동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중독위험군 현황 파악을 위해 ‘유아동(관찰자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개발, 2015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부터 적용키로 했다.
이렇게 개발된 만 3세 이상 유·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진단 척도는 상담센터 및 유관기관 등에 제공되고, 인터넷중독대응센터 홈페이지(http://www.iapc.or.kr)에 게시해 보급한다.
|
여성가족부는 가정내 효과적인 중독위험군 청소년 지도를 위한 부모 교육 을 실시하고, 민간 상담시설 40곳을 협력기관으로 지정해 취약 지역 방문상담을 지원하기로 했다.
광역 시도 중심으로 지역 인터넷중독대응센터를 확대하고(15→17개소), 중독 고위험군 대상 국립 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운영도 확대(13회, 5000명) 한다.
인터넷 중독이 우울증이나 사회부적응,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등으로 이어진 고위험군 청소년을 위해서는 부모 동의 하에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치료협력병원(149개)을 연계해 지원(750명)하게 된다.
저소득층·취약계층은 50만원 이내에서 진료비(검사비 포함)를 지원하고, 일반계층은 30만원 이내에서 진료비(검사비 포함)를 지원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유해정보 차단 SW 보급 및 ‘사이버안심존’ 운영을 확대하고, 청소년의 휴대폰 가입시 이통사는 음란물 차단 소프트웨어 설치를 의무적으로 확인토록 했다.이달부터 웹하드·P2P 사업자는 음란물 유통 방지를 위해 음란물 검색과 송수신 제한 등을 위한 기술적 조치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정한근 정보보호정책관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건전하게 사용하는 습관이 정착되도록 관계부처가 합심해 노력하고 있다”며, “인터넷·스마트폰 이용행태개선을 지원해주는 전문 상담 기관을 전국적으로 구축·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
☞ 스마트폰 중독과의 전쟁..기업에 가해지는 규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