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경제는 활력을 잃고 노쇠한 모습이다. 당연한 결과다. 청년들이 생산적 생활을 하는데 필수적인 직장조차 잡지 못하면서 경제가 젊은 피 수혈을 받지 못하고 있어서다. 우리 사회는 실질적으로 대졸자 2명 중 1명 가량이 ‘백수’로 전락하는 사상초유의 ‘청년 대량실업시대’에 진입했다. 생산인구 노령화는 경제 노쇠화로 이어진다.
설상가상 우리 사회는 청년에 해당하는 중견기업만을 유독 괄시하는 정책을 펴면서 한국경제 미래를 스스로 옥죄고 있다. 가장 역동적인 청년기업인 중견기업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면 경제의 노쇠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그럼에도 국가정책은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 지원중심으로 짜여져 있고 중견기업은 사실상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 샌드위치 신세다. 지원은 커녕 푸대접 일색이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진입하는 순간 100개가 넘는 규제가 새로 생긴다. 대신 중소업체였을 때 받던 각종 정책상 혜택이나 지원은 오롯이 사라진다. 오죽했으면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크는 것을 자발적으로 억제하며 영원히 중소기업으로 남으려는 ‘피터팬 증후군’이 중소업계에 만연해 있을까.
요컨대 우리는 한국경제 성장의 중심축인 청년과 청년기업인 중견기업을 동시에 홀대하면서 고성장을 바라는 ‘모순의 시대’에 살고있다. 한국사회는 지금 경제 저성장과 대량 청년실업이라는 양대 현안에 직면해 있다. 두 문제는 동전의 양면이다. 경제가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지 못하니 일자리가 생겨나지 않는 것이다.
중견기업에 대한 국가정책을 전면 재조정할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지금처럼 중견기업을 푸대접하는 국가정책이 유지되는 한 경제 저성장과 청년실업 문제는 풀리지 않는다. 오히려 국가차원의 청년기업에 대한 전폭적이고 과감한 지원 및 투자가 시급하다. 청년이 살아야 나라의 미래가 있듯 청년기업인 중견기업이 경제의 중추적 기업집단으로 대접받고 자리매김할 때 저성장과 청년실업 문제는 그 실마리를 풀 수 있다. 중견기업을 한국경제의 구원투수로 즉각 투입해야 한다.
▶ 관련기사 ◀
☞자동차·부품산업, 내년 견조한 성장 기대-현대
☞현대차 임단협 최종타결..노조, 잠정합의안 통과
☞현대차 임원 승진인사.. 규모 줄었지만 R&D 강세 이어져(상보)